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사업보고서

인조흑연 및 기타 탄소제품의 제조
반도체, 태양전지 및 LED용 부품전문 제조회사
1.반도체 및 태양전지 Grower장비부품인 고순도 Graphite
2.국내 유일하게 국산화에 성공한 LED Chip 생산용 Susceptor
3.반도체 장비용 SiC-Ring, SiC-Wafer 등을 제조ㆍ판매

◎사업의 개요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공정용 소모품
반도체시장의 꾸준한 확대로 고순도 흑연제품의 판매
미세화 공정 진전으로, SiC Coating 기술이 경쟁력으로 부각
1. 고순도 흑연(Graphite)을 이용한 반도체 및 태양전지용 실리콘 잉곳을 생산하는 Growing 장비용 Graphite 부품(이하 고순도 흑연 제품)
2. SiC coating사업으로 반도체 ALD 장비에 들어가는 Susceptor류와 LED Chip 생산용 Wafer Carrier
3. 반도체 Device업체에서 사용하는 장비의 Solid SiC Wafer, Ring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텍시스템BM  (0) 2022.07.02
티씨케이PQC  (0) 2022.04.26
클래시스 21년  (0) 2022.04.22
태경케미칼PQC  (0) 2022.04.21
태경케미칼 재무제표  (0) 2022.04.18
728x90
반응형

◎매출액 1006억 / 영업이익 517억 / 당기순이익 438억 / 시총 1조3589억

▣ MY엑셀

◎ 영업이익룰 토나오겟음ㅋㅋㅋ넘 높아서

◎ 성장률이 둔화될뿐이지 매출성장은 지속 -> 언제나 더존비즈온을 생각하자

◎매출원가율이 살짝 증가 (4q에 좀 많이 증가) : 아마 신제품?

◎ 21년도 역시 영업이익 최고치 -> 코로나 풀리면 더 오르겠는데

◎ 21년도에 부채가 좀 증가 (이것도 4q에 증가), 투자활동이 많아짐 -> 신제품효과?

◎ 재고자산이 증가중인데...앞으로를 위해서? -> 그래도 미용기기니깐 리오프닝으로 재고자산 증가하는건 말이 됨

◎ 클래시스 수출은 꾸준히 증가..내수가 이제 포화인가..지속적인 감소

◎ 그래도 클루덤이 고성장, 그리고 화장품은 왠일이래~ 성장

◎ 미국판매 화장품은 많이 팔려도 적자심화...중국은 문닫아서 망
     화장품 많이 팔려서 오~ 했더만 실속이 없군

현금이 200억 줄고, 유형자산이 300억, 부동산 584억(기존X) 늘어남
-> 토지 85억 증가, 건설중인자산 157억 증가
    투자부동산에서 건설중인자산이 468억

◎ 장기차입금 350억 증가

▣ 사업보고서 비교

◎슈링크 유니버스 추가

◎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겨

- 당사는 2021년 문정동 제1공장 인근지에 추가 생산시설 투자를 완료하였고, 일부는 2021년 중에 생산시설로 가동을 시작하였습니다. 다른 일부는 2022년 중에 생산시설로 가동할 예정

약간 가동률이 이상한게 이해가 되네

- 2021년 중 부채총액은 389억원이 증가하였으며, 증가분 중 350억원은 본사 사옥 투자에 대한 중도금 지급을 위한 금융기관 장기차입금(이자율 2.76%)입니다 -> 사옥투자라..좋겟다.. 근데 딱히 사업적인 이득은 없음

-행사 가능한 주식매수선택권은 59,838주였으나, 2022년 1월 13일에 모두 행사되었습니다. 따라서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남아있는 주식매수선택권은 없습니다 ->남은 추가 물량 없다는뜻

-국내는 2021년 10월 슈링크(해외명 ULTRAFORMER III)를 잇는 신제품 슈링크 유니버스(해외명 ULTRAFORMER MPT)의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완료 소식이 알려지면서, 대기 수요로 인해 매출이 전기 대비 20억원 감소하였습니다.
-> 국내 감소의 이유. 1분기때 클래시스 성적 보면 알듯. 대기수요였는지 수요감소 시작인지

▣ IR자료

비용증가로 인해 영업이익 감소 
    - 원자재가 지속 상승 , 신제품 출시에 따른 생산 안정화 , 재고 조정으로 원가 상승
    - 21 년 10 월부터 국내 광고 개시되며 판관비증가 슈링크 TV 광고 관련비용 약 15 억원

◎법인세율 조정
    - 4Q21 평균 법인세율 적용되며 전년동기 대비 당기순이익 감소 -> 모든 업체 동일?

◎ 신규사옥 매입 -> 하...쓸때없는 건물장사 실타
    - 비유동자산 증가 : 결산일 기준 계약금 , 중도금 지급으로 유형자산 약 625 억원 증가
       (기 사용 면적은 유형자산 ’,임대 면적은 투자부동산 으로 분류)
    - 유동자산 감소 : 계약금 125 억원 및 중도금 150 억원 , 부대비용 지급으로 현금 감소
    - 비유동부채 증가 : 중도금 350 억원 대출 실행으로 차입금 증가

◎ 재고자산증가, 매출채권 감소
    - 기존제품 주문 증가 및 신제품 출시를 대비 하여 원자재 매입규모 꾸준히 증가 중
    - 매출채권 관리 강화로 전분기 전년 동기 대비 채권잔액 감소]

◎ 단기예측22.1Q) 하...여기에 러시아가 껴있다니...!!
    이나영도 비싼데....신규사옥도 별로구....매출이 모든걸 메꾸는듯

 

▣ 클래시스 PQC 업데이트

EPS증가율이 조금 떨어지는중

https://astoria0208.tistory.com/319

이거랑 달라진게 없음

7. 평균PER 28을 넣었을때 주가 19472원 (현재 주가랑 별 차이 없음)

4. 평균 PER 28을 넣었을때 주가 22000원

 

이것도 value가 up되거나 매출액이 더 잘나와야할텐데....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씨케이PQC  (0) 2022.04.26
티씨케이BM  (0) 2022.04.26
태경케미칼PQC  (0) 2022.04.21
태경케미칼 재무제표  (0) 2022.04.18
태경케미컬과 액체탄산이야기  (0) 2022.04.16
728x90
반응형

생산

연간 20년전체 21년전체 태경케미컬
(20년도기준)
비고 수요
탄산가스 생산능력 1,341,000톤 1,350,000톤 350,130톤    
탄산가스 생산 936,000톤 750,000톤 189,000톤 (20%) 원재료 수급 문제로 
가동률이 떨어짐
1,170,000톤
액체탄산 생산 655,200톤 525,000톤 134,632톤   900,900톤
남은 탄산 280,800톤 225,000톤 54,368톤   270,270톤
드라이아이스 생산 103,896톤 83,250톤 23,729톤 약 63% 로스발생
매년 10% 증가
100,000톤
          -16,000톤 부족

※ 부족분은 중국 수입
  22년에는 중국 수입이 반토막 -> 국내수급이 점점 원할해지는중

※ 22년 증설 계획

(일/연간) 선도화학 신바이오켐 SK 리뉴텍 태경케미컬 쿠팡 등 자체생산
액체탄산 추가 생산능력  200톤/60,000톤 600톤/180,000톤 250톤/75,000톤 130,000톤  
넉넉히50%드라이아이스 100톤/30,000톤 300톤/90,000톤 123톤/37500톤 65,000톤  
드라이아이스Loss 60%  40톤/12,000톤 120톤/36,000톤  50톤/15000톤 26,000톤  
케파 대비 30% 생산  12톤/ 3,600톤  36톤/10,800톤  15톤/4500톤 7,800톤  
->공장증설시 26,700톤 추가 공급, 현재 16,000+a 톤 부족 -> 과잉공급시작  

근데 어차피 생산능력은 상관이 없는데...원재료 공급이 큰 이슈라서..지금도 가동률 딸리는데;;;;;
왜 굳이 더 증설하는걸까?

수요처

◎ 조선 호황에 따른 수요증가 

2009년 리포트에도 있음. 현재와 같은 상황
같은 아이디어인데 조선업호황에 따른 주가는 그닥....

◎ 쿠팡 마켓컬리 자체 드라이아이스 생산기지 구축

만들더라도 액체탄산은 태경케미컬이나 중국 등등에서 구입 필요

전체적인 액체탄산 생산량이 늘어나는건 아니지만

태경케미컬이 쿠팡 마켓컬리에 납품하던 드라이아이스를 못하게 될수도 있으므로 타격

◎ 반도체 꾸준한 수요 증가

PQC

P :  1. 탄간가스 260원 가정
     2. 액체탄산 160원, 드라이아이스 550원 가정

Q : 1. 현재 탄산 189,000톤 + 증설량 37,800톤 가정 = 226,800톤
     2.
현재 액탄 134,632톤 + 증설량 30,000톤 가정 = 164,632톤
        현재 D/I 23,729톤 + 증설량 7,800톤 가정 = 31,529톤

PxQ : 1. 260원 X 226,800톤 = 58,968,000원
       2. 160원 X 164,632톤 = 26,341,120원
          550원 X 31,529톤 = 17,340,950원
          -> 43,682,070원 + 10,000,000원 (몰라) = 53,682,070원

* 그냥 PxQ한것 보다 실제매출이 조금 더 높게 나옴

* 환경사업은 딱히 성장성 모르겠음..그냥 4,000,000원 추정

-매출액 : 577억~630억 예상
-1. 영업이익 낮춰서 영익률 15% : 87억 ~ 95억 
 2. 21년 기준에 맞춰서 영익률 20% : 115억~126억
-1. 당기순이익 영익의 90% :  78억~86억
 2. 21년 기준에 맞춰서 영익의 90% : 104억~113억)
-PER : 15배

-1. 주가 10,086원~11,121원
 2. 주가 13,448원~14,612원

-simrim이

흠....이미 오를만큼 올랐나..욕심부리지 말자
PQ로 봤을땐 많이 올랐음..

믿을건 simrim의 2만원
2만원 갈지는 모르겟지만 2만원 오면 깔끔하게 털어야겟군
이것도 헤어질 준비
근데 조선업 수요가 꽤 큰데....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씨케이BM  (0) 2022.04.26
클래시스 21년  (0) 2022.04.22
태경케미칼 재무제표  (0) 2022.04.18
태경케미컬과 액체탄산이야기  (0) 2022.04.16
태경케미컬 BM  (0) 2022.03.19
728x90
반응형

◎영익은 20년부터 급격한상승. 과연 22.1Q에 전년도를 뛰어넘을수 있을까?
   연간으로 보면 추세전환일것인가!??

◎ 뭐로 보나 20.3Q~21.4Q까지가 환상의 지표
    매출원가율 하락, 판관비유지 -> 영입이 매우 높아짐 
    아무래도 19년도 20년도 21년도 3개년도를 확인해봐야할듯
    12~19년도는 매출은 고만고만한데 판관비의 증가로 오히려 영익이 감소
    20년도부터 매출원가율이 확 낮아지면서 영익의 증가

◎ 1분기가 잘나가는 계절적 요인이 있군 -> 아마도 여름 준비
◎ 21.4Q 투자활동이 증가
◎ 매출액만 게속 증가. 매출채권이나 재고자산은 그대로..생산하자마자 현금으로 팔리는듯
가동률 관련해서 21년 부터 액체탄산+드라이아이스를 탄산가스로 일원화 해서 나타냄!

20년
21년 (아마도 액체탄산 3 : 드라이아이스 1)
20년도
비슷할듯..액체탄산 130,000 드라이아읏 30,000

드라이 아이스 가공로스율을 낮춰 생산수율이 좀 더 잘나옴
*로스(Loss) : 쓰고 남은 버려지는 것들...로스율 낮추는게 기술

◎ 탄간가스 원재료 매입액과 탄간가스 생산실적이 비슷함. 바로바로 만듬
  19.3분기까지 건설중인자산은 19.4분기에 다 어디로 간겨??

19.4Q 보고서

이런일이 있었군

[19년->20년->21년 재무상태표]

▶19-> 20년은 별 큰 차이가 없음

▶20-> 21년
◎ [유동자산]기타단기금융자산 89억 증가
◎ [비유동자산] 유형자산 51억 증가 ->시설투자함?

[19년->20년 포괄손익계산서]

◎ 19년도 매출액 : 418억/12억/98억
    20년도 매출액 : 470억/77억/77억
    21년도 매출액 : 540억/121억/109억

▶19-> 20년
◎ 매출액은 52억 증가
    매출액 증가분이 그대로 영업이익 증가분으로 따라옴 (12+52= 64+@)
◎ 매출원가,판관비 오히려 소폭 감소 -> 영업이익 증가를 가져옴

▶20-> 21년
◎ 매출액은 70억 증가 (15%증가)
◎ 매출원가는 고작 17억. 판관비는 9억 = 26억 증가
◎ 영업이익은 44억 증가 (57%증가)
◎ 당기순이익은 따라서 32억 증가 (41%)

◎ 19년도는 영업외-기타이익이 크게 증가해서 당기순이익이 서프라이즈. 1회성 비용이겟지
-> 이거 역시 포스코와 계약페기로 기타손실(유형자산폐기) 189억, 기타이익(잡이익) 272억원이 발생해서 영업외이익으로 약 83억 정도가 당기순이익으로 잡힘. 그래서 서프가 난거임. 이거없으면 5억정도로 영익을 보면 말이됨

이집에서 봐야할꺼는
원재료 공급 P는 쓰레기 받아오는거니깐 안올라
후방산업 Q는 증가계속 할꺼임(조선+배달)
하지만....원재료 공급이 안되서 만들고 싶어도 만들수가 없어
공장가동률이 50%가 안됨.
만드는 족족 팔림
지금 태경이도 공장증설하고 (근데 왜하니? 원재료 없어서 돌릴수도 없는데. 뭐 믿는게...)
다른 업체들고 공장 증설 중이라서 판매하기 위한 Q가 늘어나서 제품가격 하락 리스크는 있음
근데 유가가 또 올라서 화학회사들이 공장안돌리면 어케......

1.태경이랑 다른 업체들의 증설
2.원재료 수급 
3.수요는 확실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시스 21년  (0) 2022.04.22
태경케미칼PQC  (0) 2022.04.21
태경케미컬과 액체탄산이야기  (0) 2022.04.16
태경케미컬 BM  (0) 2022.03.19
클래시스BM  (0) 2022.02.23
728x90
반응형

http://news.bizwatch.co.kr/article/market/2021/04/30/0034

전환사채란 단어에는 '모일 사(社)'란 한자를 사용해요. 즉 회사채를 의미해요. 회사가 채권을 발행해서 투자자에게 돈을 받고 파는 것이죠. 투자자는 회사 가치를 믿고 돈을 투자하고, 회사는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하고 약속된 날짜(만기일)에 원금을 돌려주는 방식.
그럼 처음부터 회사채라고 이름 붙이면 헷갈리지 않았을 것을 왜 '회'자는 쏙 빼고 '사채'라고만 해서 사람 헷갈리게 만드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텐데요. 일반적으로 말하는 회사채는 전환사채처럼 주식과 연결고리가 없고 오직 이자만 지급하는 순수 채권 성격을 가진 금융상품을 말해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회사채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이 붙어있는(붙을 부: 附) 회사채는 신주인수권부사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회사채는 교환사채.
일반적으로 주식과 연결고리가 없는 순수 회사채는 신용등급이 높은 대기업이나 금융회사가 주로 발행해요
그래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전통적인 보상(이자 지급) 외에 추가 보너스를 더한 상품을 내놓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전환사채), 또는 신주를 인수할 권리(신주인수권부사채)를 붙인 회사채이죠. 
어느 정도 신용도를 갖췄거나, 당장 신용도는 낮아도 회사가 성장성을 가진 유망주라면, 투자자에게 주식전환권이나 신주인수권을 주는 대신 일반 회사채보다 낮은 금리로 채권을 발행해 자금조달 비용(이자 비용)을 줄이는 방법이거든요. "우리가 지금 돈이 없지 성장성이 없냐. 나중에 우리 회사 주식을 가질 기회를 줄 테니까 한번 믿고 채권을 사봐" 이런 얘기죠.
ex)코스닥 상장회사 네오셈은 220억원어치 전환사채를 발행하면서 이자를 한 푼도 주지 않겠다고 선언했어요. 마트에서 물건을 사는 것도 아니고 엄연히 이자를 주고받는 채권인데 말이죠. 이유는 전환사채란 단어 중 '사채' 보다는 '전환'의 가치를 믿은 것이죠. 지금 당장 채권자로서 이자를 받지 못하더라도 나중에 주식으로 바꿔서 그 주식을 팔면 큰 이익을 남길 수 있겠다는 판단으로 투자한 것이죠.
네오셈의 전환사채 발행조건을 보면, 1주당 3546원에 주식으로 바꿀 권리(전환청구권)가 붙어있어요. 가령 이 회사의 전환사채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 나중에 주식 2만8200주(1억원÷3546원=2만8200주. 나머지 잔액은 현금 지급)로 바꿀 수 있어요. 네오셈의 현재 주가는 3500원이어서 지금은 주식으로 바꾸더라도 투자자가 이익을 볼 수는 없지만 나중에 주가가 4000원, 5000원 식으로 올라간다면 투자자는 시세와 관계없이 3546원에 주식을 확보해서 이익을 남기는 구조가 되죠. 전환사채 투자자가 주식으로 바꿔 달라는 요구(전환청구권 행사)를 하면 회사는 새로운 주식을 찍어서 줘야 해요. 그럼 전환사채에 투자하지 않은 일반 주주는 이때 어떤 생각이 들까요. 일단 자신이 주식을 보유한 회사의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면, 기존 주식이 희석되는 부작용이 나타나죠. 또한  싼 가격에 새로운 주식을 대량 확보한 전환사채 투자자들이 이익 실현을 위해 주식을 매도하면 주가에도 부담이 되겠죠. 흔히 얘기하는 주식 수급(수요와 공급)에 부정적인 흐름.
참고로 사모 형태로 발행한 전환사채는 발행일(납입일)로부터 1년 지나서 전환청구권 행사, 즉 주식으로 바꿀 수 있어요. 이때부터는 물량부담 우려가 서서히 고개를 들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죠. 



 

 

728x90
반응형

'투자관련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리락 효과  (0) 2022.06.30
유형자산. 이익잉여금  (0) 2022.06.07
유형자산처분손실 유형자산손상차손  (0) 2022.04.12
채권,금리에 대해서  (0) 2022.03.30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0) 2022.03.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