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환사채

  • 발행가액 :  26,896원 -> 21,517원 (조정)
  • 발행총액 : 19,999,973,184원(200억)
  • 발행주식수 :  743,604 -> 929,493주 (조정)
  • 기간 : 2019년 09월 18일 ~ 2028년 08월 18일

사업의개요

  • 전자재료는 유/무기를 포괄하여 다양한 제품이 사용
  • Life Cycle이 짧으며, 고객사별로 요구특성 다름
  • 전극페이스트는 스마트폰, PC, 노트북에 대부분 응용되는 칩콘덴서, 칩인덕터, 칩저항기, 칩바리스터, MLCC, LTCC 등에 핵심 소재
  • 삼성전기를 필두로 하여 칩부품용 전극재료의 수요가 증가
  • 중국, 대만에서의 시장
  • 태양전지용 전극재료와 이차전지용 음극재의 매출이 확대
  • 1) 이차전지용 음극재(나노재료)
     3세대 제품으로 효율이 향상된 초기효율(82%), 방전용량(1400mAh/g)의 실리콘계 음극활물질로 2021년도부터 양산 공급
  • 2)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핵심원료인 도전성 은분말 , 글라스파우더의 내재화

  • 3) 칩부품용 전극재료 
    전도성페이스트 : IT, 디스플레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전극재료
    도전성 은분말, 글라스파우더 적용
    국내 다수의 칩부품 (MLCC, 인덕터, 칩저항,등) 제조사에 판매
  • 4)형광체 재료
    LED용 형광체 시장으로의 전환
    자동차 전장용 광원시장
    LED용 파우더, PIG
  • 5)고분자재료
    전기 전자부품 코팅하여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
  • 시장동향 및 대응전
절연 재료 자동차 전장화에 따른 열제어 및 기능성 신규재료 시장 형성 전장용 방열 및 기능성재료 개발중
전도성 재료 자동차 전장화에 따른 칩부품 사용량 증가
전력반도체의 고신뢰성/내용 요구

고신뢰성 저온소결접착제 개발 및 평가중 
유연전극재료 개발 및 평가중 

형광체재료
고효율의 형광체파우더 사용으로 전환
전장부품 특성에 따른 광원용 PIG, PC 시장이 확대

고효율, 고신뢰성 YAG, GYAG 형광체 개발
고품질, 고효율의 PIG CELL 개발

태양전지 
전극재료
인도시장 급부상중
지속적인 태양전지 기술 개발 진행중
고효율용 HJT/ 페로브스카이트용 전극개발
금속분말재료 대중국 규제로 비 중국산 은분 수요량이 요구
금속분말 Ag, Ag/Pd, Pd, Ru 등을 직접 생산
나노재료
(음극재)
실리콘계 음극재의 적용이 필수적임
초기효율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 기종확대와 첨가량이 한계를 나타냄

안정된 특징을 유지
낮은 초기 충/방전 효율을 향상
전기차용 파우치셀에 세계최초로 적용

  • 칩 부품용 전극재료, 고분자재료, LED용 형광체 파우더사업 -> 첨단 Solar Cell 전극 페이스트, LED재료, 전장용 PIG 및 PC,이차전지용 음극재료의 소재
  • 중국3개법인 : 백색가전 부품용 절연재료 및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 -> 중국 내 전자부품업체에 납품
  • 베트남 : PIG생산기지

판매방법

  •  제품 특성 상 주문 생산 방식
  • 별도의 내수 대리점을 운영X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 자산증가 :  음극재 생산설비투자로 인한 유형자산 증가
  • 부채증가 : 설비증설에 따른 차입금 증가
  • 매출감소 : 전도성 페이스트 제품 :국내외 고객사 수요부진으로 전년 대비 23.2%감소
                     형광체 제품 : 신규 차종의 형광체 조명 채택 확대로 전년 대비 15.4% 성장
                     이차전지용 음극재 :전기 대비하여 26.7% 증가
  • 영업외비용 :  동관대주유한공사의 영업손실의 누적과 향후 판매부진이 예상되어 손상검사 -> 3,586백만원 손상차손
                           전환권조정에 의한  전환사채이자(표면금리0%) 59억원을 인식
  • 본사 및 시화 단지에 248억원의 음극재 양산용 시설투자가 진행
  • 차입금 455억원 증가의 주요 원인은 음극재 시설투자 진행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대주전자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대주전자재료 뉴스  (3) 2024.10.22
5.대주전자 리포트  (5) 2024.10.22
1.대주전자 홈페이지  (0) 2023.09.20
대주전자재료 제무재표  (0) 2023.02.16
대주전자재료 자료  (0) 2023.02.10
728x90
반응형

기업개요

  • 백색가전용 절연재료, 전극재료 등의 소재 생산
  •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자동차용 LED 형광체 소재, 자동차용 MLCC 전도성 페이스트
    -> 차세대자동차용 부품소재업체
  • 임일지, 임중규
  • 본사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 해외 : 상해 청도 동관 / 대만 / 베트남

사업분야

  • 저온타입 도전성 페이스트 (필름, 플렉스블 기재 적용, 낮은온도에서 우수한 전기적특성, 접착력
    전자부품 : 멤브레인스위치, LCD 정전기 방지용 전극,MLCC/인덕터 등 외부전극
    바이오부품 : 혈당 스트립용, 심전도 패드용 전극

  • 고온타입 도전성 페이스트 (그냥 MLCC원료네)
    LCR 수동부품 소자 : MLCC, 칩인덕터, 귀금속 내외부 전극
    세라믹안테나 : 무도금 귀금속 표면 전
  • Conductive Powder : 전도성 파우더 (작은 은 분말이네)
    도전성 Silver 분말. 고신뢰성 전자부품용 전극 페이스트에 적용.
  • Phosphor (형광분말) 
    높은 광변환 효율, LED 등 디스플레이 조명용 발광재료
    자동차 헤드램프등 괴신뢰성 필요한 LED PKG적용
  • Silicon Anode (실리콘음극재)
    탄소계 음글활 물질 용량 (350mAh/g) 대비 고용량(1300~1700mAh/g) 갖는 실리콘계 음극활물질
    배터리 핵심소재 음극활물질로 적용
    리튬이차전지 에너지밀도 향상과 급속 충전을 가능하게 함.
    탄소계음극재에 실리콘을 첨가해서 용량을 획기적으로 향상

  • Polymer (폴리머) 화학결합된 분자로 되있는 화합물
    전기 전자 절연도료의 핵심원료인 에폭시 수지를 다양한방법으로 적용
    콘덴서, 자동차용 코일, 파워인덕터,
    저항기, 세라믹 콘덴서
    LED계열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대주전자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대주전자재료 뉴스  (3) 2024.10.22
5.대주전자 리포트  (5) 2024.10.22
2.대주전자 사업보고서 (22.4q 사업보고서)  (0) 2023.09.20
대주전자재료 제무재표  (0) 2023.02.16
대주전자재료 자료  (0) 2023.02.10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ROE > 영업이익률 > PER
- PER 매우 높은..고평가.. 성장산업.. 미래껄 땡겨옴. 그래도 100넘는건 심하잔아.
-그래도 20년 부터 ROE 증가중. 특히 21년엔 20을 넘음.
-영업이익률도 10을 향해 달려감
-PER...꺼져
-고PER-> 저PER가 되는 방법을 써야함
- 사실 이것만보면 사면 안됨

2.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 매출액은 그래도 상승중.. 영익이나 당기순이익은...아직 부족 ( 영익률 8~9%)
- 22.4q 실적은 감소 & 22년 총 매출 감소 -> IT시장 악화로 인한 손익 감소. 그래도 소폭 감소. 21년다음으로 많이 범
- 아직은 음극재실리콘은 매출에 큰 의미가 없음. 기존 페이스트가 매출영향 당연히 큼

3. 매출원가율, 판관비율
-매출원가 70후반이면..좋은건가...나쁘진 않은데..
-판관비율은15언더.

4. 그래도 영업 현금흐름은 나쁘지 않음. 투자 많은건 뭐 알고 있던고
    차입금이 많아서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많음 -> 투자현금이 증가

5. 배당은 그래도 벌면 주는거에 안도해야함

6. 당기순이익이랑 영업활동 분기랑 비슷
    하지만 버는 족족  CAPEX로 투자 -> 미래를 내다봄

7. 매출채권은 계속 증가. 350억 정도는 계손 남아있음

8.유형자산은 3년 만에 2배 증가 -> 2100억 . CAPEX 투자가 매 분기 100억 이니깐
   유형자산 2500억 넘는건 무조건일듯. 대부분이 실리콘 음극재
   그래도 유형자산 증가하는 만큼 매출액도 증가
    유형자산이 취득 되는 와중에 건설중인자산도 150억씩 계속 가지고 감

9. 직원수도 증가하고 영익/직원수도 증가하고 있으니...좋은 시그널
    직원과 임원의 연봉도 뭐 4.5배 정도면 과하지 않고

10. PBR 매우 높음(주가/주당 순자산)

11. 현금성 자산 및 사업자산이 매우 부족

12. 차입으로 인한 비용부담이 너무 큼

13. 시총이 너무커서 모든 지표가 별로임. 현금도 시총에 비해 부족

14.영업외 비용도 높음..Why?

15. 아직 성장도 들쭉 날쭉

16. 나노 재료야 힘내라. 전도성 페이스트도 중요

17.재고자산으로 원재료도 많이 보유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대주전자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대주전자재료 뉴스  (3) 2024.10.22
5.대주전자 리포트  (5) 2024.10.22
2.대주전자 사업보고서 (22.4q 사업보고서)  (0) 2023.09.20
1.대주전자 홈페이지  (0) 2023.09.20
대주전자재료 자료  (0) 2023.02.10
728x90
반응형

기업분석블로거

대주전자재료_ver3.xlsm
0.95MB

국내에서 유일하게 실리콘 음극재를 양산할 수 있는 능력
2019년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해
포르쉐의 타이칸EV 모델에 적용

연간 3000톤 -> 24년 10000톤 - >25년 20000톤 -> 30년 8만톤

실리콘 음극재 공장동 추가신축 목적으로 568.97억원 규모의 신규시설(신규시설투자) 투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자기자본대비 43.13%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투자기간은 2023-01-02 부터 2024-12-31

발표된 568억원 규모의 투자는 2공장(2-1, 2-2) 기반 공사에 대한 투자 금액이며 통상 SiOx 만톤당
Capex가 3,000~3,500억원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 시 2-1공장(7,000톤)에만 총 2,100~2,450억원 규모의 투자가 집행될 것으로 예상 --->시화 2공장 기반공사 투자임. 시설투자는 시작하지도 않음. (공시에도 시설장치에 대한 투자는 별도라고 표시됨) 

리스크- 경쟁사 추격과 시설자금 마련

  • 경쟁사: 포스코케미칼, SK케미칼, 한솔케미칼 등 경쟁업체 추격 (양극재는 에코프로비엠 시작 후 추격업체들이 한참 이후에 쫓아왔지만, 실리콘음극재는 시간격차가 양극재보다는 짧다. 현재 LG는 대주전자재료에게서만 실리콘음극재를 받지만, 단일공급사 위험분산을 위해 포스코케미칼이 실리콘음극재를 생산하게 되면 받을 것임. 결국 양극재처럼 실리콘음극재도 공급사 다양화가 될 것임. 대주전자재료가 포케와의 시간격차를 얼마나 벌려놓을 수 있을지가 관건. 현재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홀딩스가 인수한 포스코실리콘솔루션(구 테라테크노스)가 샘플 테스트 중임

*** 시설 자금 마련 **: 매년 1,000~2,000억원 CAPEX 투자필요

 

주담통

221031)

- 향후 캐파

21년말 840톤 -> 22년말 2000~3000톤 -> 24년말 1만톤 -> 25년말 2만톤

- 23년 캐파 가이던스 없는 이유

23년중 장비 공정 개선과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투자할지 탄력적으로 결정해야 함

- CAPEX 가이던스

내년 2천억, 내후년 2천억

-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LG엔솔: EV 타이칸 / 파워툴 일부

EVE: 전량 파워툴

- 탑재 예상 차종

본격적인 양산 및 탑재 24년부터. 기본적으로 탑재 차종은 셀업체에서 공개하지 않음

관련한 모델 공개는 23년중 발표할 것으로 예상

- R&D

기본적으로 셀업체와 공동으로 진행

음극재 첨가물 만들어 양극과 조화롭게 의도한 효율 만들어야 함

- ASP

현재 kg당 60~70 정도

기본적으로 탑재량 많아지고 시장 커지면 자연스럽게 ASP 하락하겠지만 아직 단가하락을 논할 단계는 아님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대주전자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대주전자재료 뉴스  (3) 2024.10.22
5.대주전자 리포트  (5) 2024.10.22
2.대주전자 사업보고서 (22.4q 사업보고서)  (0) 2023.09.20
1.대주전자 홈페이지  (0) 2023.09.20
대주전자재료 제무재표  (0) 2023.0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