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2.03.24 현대중공업, 해운 자율운항·수소 밸류체인…혁신산업으로 미래 개척
조선해양 부문에서 탈탄소 선박과 자율운항 기술 고도화를 통해 해양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부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그룹 조선 3사는 2030년까지 스마트 조선소 전환을 위한 'FOS(Future Of Shipyard)' 프로젝트

22.03.18 현대미포, 세계 최대 규모 LNG 벙커링선 건조
C-type 탱크·재액화장치 장착, 안전성·운항효율 높여
1만8,000입방미터(㎥)급 LNG벙커링선인 ‘케이로터스(K.LOTUS)’호를 선주사인 대한해운에 인도
선박용 경유(MGO)와 LNG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 엔진(Dual Fuel Engine)'을 장착해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 등 유해가스 배출을 대폭 줄임
국제해사기구(IMO) 기준 안전성과 신뢰성이 가장 높은 원통형(C-type) 독립 LNG 탱크를 탑재해 LNG를 영하 163도(℃)의 극저온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
선박의 LNG 재액화장치(Sub Cooler)는 화물창에서 자연 기화되는 증발가스(BOG)를 적합한 온도와 압력으로 액화해 본선 추진연료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고 온도와 압력을 낮춰 원활한 LNG 충전 서비스가 가능

22.03.23 한국조선해양, 컨테이너선 5척 2,100억 원 수주
 최근 아프리카 선사들과 1,800TEU급 컨테이너선 5척, 2천 백억 원 규모의 건조 계약을 체결
수주한 선박들은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돼 2024년 상반기까지 선주사에 인도

22.03.20 조선사 '사업보고서'에만 있다… 애널리스트가 보는 지표는?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031817278096931

22.03.18 현대미포, 그리스 선사서 컨테이너선 4척 수주
캐피탈 마리타임, 2800TEU급 컨선 발주

22.03.11 현대미포조선, 2251억 규모 컨테이너선 4척 수주
현대미포조선은 오세아니아 소재 선주로부터 2251억원 규모의 컨테이너선 4척 공사를 수주

22.02.28 한국조선해양, 6970억 규모 컨선 9척 수주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 3척은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 
중앙아메리카 선사와도 2700억 원 규모의 피더 컨테이너선 6척에 대한 건조 계약
피더 컨테이너선은 울산 현대미포조선(010620)에서 건조돼 2023년 하반기부터 선주사에 인도될

22.03.16 장금상선, 현대重에 컨선 12척 발주…창사이 래 첫 8000TEU 선박 신조
8000TEU급 6척 선형은 현대중공업에서 신조를 맡고 중소형선 시리즈는 현대미포조선이 책임진다

22.02.23 현대미포조선, 729억 규모 12.5K LNG 벙커링선 계약 해지
 유럽 소재 선주와 체결했던 12.5K LNG 벙커링선(BV) 1척 공급계약이 지난 22일 해지
현대미포조선은 “본 계약은 조건부 계약”이라며 “선주사가 계약 발효조건을 미이행해 해지됐다”

22.02.16 "얼마만이냐"…현대중공업 7년·현대미포 8년만에 기술직 공채

22.02.29 현대미포조선, 장금상선서 2500TEU 선박 4척 수주
현대미포조선이 국내 중견 해운선사 장금상선(시노코)으로부터 2500TEU급 선박 4척을 수주했다.
현대미포조선(HMD)에서 1억6000만 달러(약 1918억 원) 규모의 선박 4척을 발주해 2023년 하반기에서 2024년 말 사이에 인도될 예정

22.02.09 LNG선박 가격 폭등랠리...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주목을|
LNG선박 가격이 모든 선박에 걸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1월 전세계 선박 발주는 전월(178만CGT) 대비 72% 증가한 307만CGT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 이후 지속 감소하다 4개월 만에 반등
지난 1월 선박 발주 중 LNG운반선(111만CGT, 36%)과 1만2000TEU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94만CGT, 31%)의 비중이 67%에 달했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S-Max급, A-Max급 유조선은 발주되지 않았다

22.01.24 [조선] 10여년만에 턴어라운드..“성장 업종으로 변신 중” - NH
2021년 국내 주요 조선 4개사의 4분기 수주 실적은 103억달러로 추정
조선 4개사의 2021년 수주실적 누계는 총 491억달러를 기록, 2020년 대비 약 2배 증가
올해 수주잔고는 증가될 전망이다. 생산 예정 물량을 넘어서는 355억달러 수주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전기(혹은 전년도) 보고서를 compare툴을 이용해서 차이점확인

수전해 기술은 좋은건뎅
수소 쪽 트리거가 확실히 보임

2. 기업엑셀에 실적 입력 (차트뽑아서 특이점확인)

시총 2470억 / 매출 700억 / -5억/ -10억 

  • 영익이 마이너스인데 뭐 볼게 있나
  • 이익이나 17, 18년도 보면. 매출원가율이 85~90% (87%이 마지노선)
  • 판관비율은 7% 아래정도는
  • 22.2q는 매출원가 90%, 판관비율 10%
  • 영업활동 현금은 + ??어떻게!!??
  • 다행히 CAPEX 투자는 없음 (엔지니어링 회사)
  • 매출채권 감소하는건 시른데...

3.기업제무제표 엑셀비교하며 상세비교 (계산기엑셀활용)

4.기업엑셀에 사업부별 성과 입력

  • 걍 매출에 조금 감소해서 다들 감소한거 말고 특별한건 모르겟는데

5. 2번,3번,4번 에서 내용을 보고서 주석을 통해서 상세 확인해서 블로그에 작성

6.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PQC 새로 update

7. simrim으로 한번더 확인하고 종료

적자라서 simrim은 불가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ver2. 22.2q

@비에이치아이 엑셀
22.1q  2q 까지는 아직 허덕거림

1. ROE>영익>PER
10년동안 전성기는 16년도 and 12년도
ROE/영익/PER 16년도 : 18/4/10
                           12년도 : 17/5/8
영익이 아무리 잘나와도 7이상을 넘기가 힘드네. ROE는 15까지 넘길수도

2.매출액.영익.당순
매출원가가 상당히 높음. 평균87. 최근 100도 넘음->투자 이어짐? 
판관비는 8~12

3.영익 당순 주가
13년도까지는 실적을 냈지만...12년부터 주가는 꺾임.
16년도는 잠깐 실적냄

4.현재는 당순 적자->EPS적자

5.현금흐름은 꾸역꾸역 +하지만..21년도는 마이너스

6.딱히 유형자산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음

◎원자력
대형원전 건설시 비에이치아이 수주가능 금액 1500억
지난 UAE바라카원전수주 당시 1000억
->윤석열 정부 10개 목표 -> 30% 달성하면 3000억 -> 5년동안이니깐 1년에 600억

◎HRSG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0%가량 적은 LNG발전소를 2020년 41.3GW에서 2034년 58.1GW로 약 17GW증설할 예정이다. BHI에 최소 1조원이상의 수주 기회가 열렸다는 분석
HRSG는 LNG공사비중 9.23%
LNG발전소는 설비비용 최대 6조원
->
1기가 900MW라고 가정, 15년간 17GW=17,000W 필요 
    17000/900 = 18.8 대략 20기가 추가필요

-> 5조(보수적)에서 10% 하면 5000억, 20기 설치 ->10조!!!!!
-> 15년간 10조니깐 1년에 6600억

현대자동차가 대규모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열병합발전소를 건설

◎PC보일러 24개


pc보일러는 암모니아혼소 발전에 쓰이지만 있는걸 활용하는거라서...신규 수요가 있을까?
어느정도 돈을 벌수 있을까. 
600MW 1기 수주금액 1500억
-> 24*1500 = 3조6000억 /10년간 =3600억

◎CASK
운반저장겸용용기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124억달러(약 14조9,506억원)에 달할 것

세계 원전해체시장 규모는 2050년까지 약 550조원 규모
국내 한 해 소요될 사용후핵연료 처리 비용은 최대 10조원 규모
한 해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 저장 시장의 규모는 최소 5조원에서 최대 10조원 규모로, 약 1000억원씩, 50~100건이 발주될 것으로 알고 있다.
GNS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사용후핵연료 운반-저장-처분기술 개발 관련 사업을 공조 추진하고, 이를 위한 기술 및 정보교환 등도 협력 ->직접만드는건 아님
-> 30년까지 15조 시장
-> 글로벌 플레이어 4군데, 그중 한국 1군데 -> 4조 
-> 국내플레이어 4군데 -> BHI 1조가능 (10년간)


주요사업부 희망회로 매출 더해보면 연간으로
원자력 : 600억
HRSG : 6600억
보일러 : 3600억
CASK :  1000억

합계 : 1조 1800억 / 분기 3000억 -> 달성 위해선 매년 30% 성장해야함
기간은 윤석열정부 5년 내 분기 3000억 달성 목표

매출액 1조1800억 
영억이익률 5% -> 영업이익 590억
당기순이익률 영업이익의 절반 -> 당기순이익 295억 (분기73억)
주가 : 11346원

 

이건..재무제표는 의미가 없음
윤석열 정부동안 2배 오르길 기대
당기순이익 분기로 73억 찍어주면 됨
목표주가만 있을뿐 11346원

 

11346원 달성했는데 왜 안팔앗니?
또 떨어졌잖아. 다시 갈꺼 같긴하지만...제발 열심히 만들었으면 지켜라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