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디자인하우스-비메모리생태계에 있어서 중요 구성원. 비메모리에서는 다품종 소량 생산이라 업계 생태계가 중요하다 . 메모리 처럼 삼성이 소품종 대량 생산하면서 설계 양산 후공정 패키징 이모든걸 혼자서다 할수가 없기때문이다.

삼성의 파운드리에 고객을 유치하고 고객이 칩을 설계하거나 양산 패키징하는데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는 디자인하우스가 중요.

대만 tsmc쪽 디자인 하우스는 시총 1조 넘어가는 회사도 있음


에이디테크놀로지, 코아시아


2. 후공정 외주를 받는 기업: 전공정이 끝나고 테스트하고 패키징하는것도 품목이 다양해서 메모리처럼 일괄적으로 할수 없어서 외주를 많이 준다. 대만엔 대형 후공정 업체들이 있다 . 메모리 쪽은 삼성 하닉이 내재화하고 남는 물량만 주기 때문에 메모리 후공정 업체는 싸이클이 더 심하고 열악한 경우가 많다.

원래비메모리쪽 :테스나 네패스 엘비세미콘

메모리쪽이지만 비메모리로 진입 가능한 회사:

sfa반도체 하나마이크론 에이팩트


3. 비메모리 향으로 진입하는장비기업

한국장비회사는 대부분 메모리향. 피에스케이 원익ips정도가 비메모리 레퍼런스가 많고 나머지 기업은 메모리향이나 비메모리 신규 진입 가능성은 열려있음 . 전공정 장비주는 결국 삼성과 같이 가는 파트너. 주로 메모리하더라도 삼성이 비메모리 키우면 결국 비메모리에도 들어갈것이다

원익ips 이오테크닉스 테스(개스앳처 비메모리 진입) 피에스케이 에스에프에이 테크윙 제이티 인텍플러스(인텔향 tsmc 진입가능 인텔피해주?? ) 유진테크

싸이맥스? 뉴파워프라즈마? 케이씨텍? 조사중


4. euv관련주 -7나노 공정을 위해 꼭 필요한 장비 euv노광장비

.기존의 arf노광장비로는 광원의 물리적 한계로 미세한 패터닝을 위해 멀티패터닝을 너무 많이 해야되다보니 미세화될수록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euv는 여러번 패터닝할것을 한번에 한다고 이해하면됨.대당 1500억이상하는 장비이기때문에 너무 비싸서 일부 크리티컬한 공정에만 적용됨. 현재 euv투자여력이 있는 회사는 tsmc 삼성 두군데 뿐이라고보면됨. 인텔도 연기함.


동진쎄미켐 -krf광원에 대한 포토레지스트 양산중이고 업력있음

arf포토레지스트는 별로 납품 못하다가 일본 이슈로 납품 가능성 커지고 euv포토레지스트도 가장 가능성이 높다 물론 euv포토레지스트는 아주 오랜 시간이 필요할듯

이엔에프테크놀로지 -arf포토레지스트.원재료를 만든다. 향후 euv포토레지 원재료 만들 가능성. 물론 먼일

에프에스티 -euv용 펠리클 및 자회사 오로스테크놀로지

에스앤에스텍-euv용 펠리클에서 앞서감 euv용 블랭크마스트는 아주 먼일일듯

euv용 블랭크마스크 개당 5억 펠리클 개당 1억으로 알고있음 양산되면 더 싸질것임.


5. 삼성 오스틴팹 파운드리에 같이 데려가는 애들

미국이 국가 안보를 위해 첨단 반도체 공장을 미국내 짓기를 원함. tsmc가 중국에 붙으면 미국안보에 비상.

결국 tsmc 공장 미국에 짓기로함. 삼성도 미국 오스틴에 파운드리가 있는데 그쪽에서 공장 증설할 계획


이엔에프테크놀로지 - 미국에 500억 투자할예정.

미국지역 신문에 남.

한양이엔지-미국에 부동산 삼. 삼성 오스틴 대응용으로 생각됨


6. 대만이나 미국에 생산공장이 있는 소재주들

만능플레이어들..메모리 비메모리 고객사도 다양한편

코미코 월덱스 원익qnc

7.비메모리노출이 높은 소재주

리노공업


8.pcb기판패키징등


해성디에스 코리아써키트 심텍 대덕전자

9. 파운드리

db하이텍 삼성전자


10.이미 삼성 파운드리로 들어가지만 비메모리관련주로 안쳐주고 앞으로도 영원히 안처줄거같은 소재주

원익머트리얼 sk머트리얼

하나머티리얼즈-삼성향 매출의 10프로가 비메모리

전체매출에선 어느정도인지 계산해봐야함

sic링 진입기대
isc
[출처] 비메모리 파운드리 관련주 간단 정리 (가치투자연구소) | 작성자 it만이살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업부별 확인 별다른 내용이 또 없음!!!

MY엑셀분석

매출 340억 / 72억 / 57억
->한우물)납품대금 유무가 있을것이라고 했고, 이것이 4분기로 넘어감. 꽤 큰 금액이래
->아니면 보자!!!

매출 영익 둘중 작년보다 30%넘으면 조기공시-> 2월10일 경 조기공시 예상

ROE > 영업이익률 > PER 
ROE,영익이 계속 20이 넘는데 PER은 7이넹..참네
->매출액은 yoy증가, qoq감소.

여기도 매출원가율이 증가해버렸네
당기순이익이 감소는 쫌 뼈아픈데...

PER은 7, EPS증가율은 60...PEG는 0.12 -> 완전 저평가

매출채권이 조금 줄어드는데..그래도 매출채권도 같이 늘어나야 좋은뎅..
재고자산쪽도 조금...늘어난 느낌

진짜 재무재표로는 깔께없는데...왤케 주가는 안오를까??

사업부별 확인

스위치 가격은 계속 다운..FTTH는 증가..다행
FTTH 생산량이 25??
분기별 386-522-25-?? ->말이됨?? 잘못나온건가?

스위치 물량은 계속 증가. FTTH는 지난분기 많이 만들어서 재고로 판매한듯
->그래도 다음분기때는 350대 이상은 뽑아내라~!! 안그럼 더이상 못믿는다.

스위치 매출은 증가. 스위치 수출이 미비하지만 점점 증가한다는게 고무적임
FTTH는 흠...별로 안좋은데..21년도 들어 제일 안좋은데. 왜지?

블로그들
다좋데......팩트를 통해서..예전과 달라
지오(인도)필드테스트, 삼성협업-미국일본진출, 실적 엘지, KT, 
메타버스(이건 좀 빼라)

니가 이기나 내가 이기나. 인내로 죽치고 앉아있어보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종토방 1000횽]

그렇게 저 평가는 아니나, 적정수준 하단임. 소재 기업들 19~20배 정도는 받긴 함. 장비 기업치곤 비싼 수준인데, 요즘엔 소재, 장비 안가리고 업황 긍정적이면 10배 중반~후반은 받는 편. 이번 실적이 생각보다 만족스럽진 않지만, 칠러 장비 3사중에서는 가장 칠러발 매출이 큼. (gst, 유니셈 모두 200억 언더로 떨어졌으나 fst는 250억대임. ms확대 많이 한것 같음. ) 펠리클발 매출은 200억임. 엄청 많이 커짐. 2분기 115억이었는데 펠리클 매출이 3분기에 70% 이상 급증함.
이번에 영업이익이 크게 떨어진건 전반적인 판관비 증가도 있지만 특히 급여와 감가상각, 특히 연구개발 및 외주가공항목에서 16억 가량 비용이 더 증가함. 이런저런 비용 다 빼고 2분기와 유사한 cost 환경이었다면 영익 75억 정도 나왔을 듯. 애초에 3분기가 수주 공백기라 걱정을 많이 했었는데 이정도면 준수한 듯.

1. 올해 실적 전망
_ 회사 목표인 매출2000억,영익300억 정도는 너끈하게 달성할듯. 컨센으로 나와있는 매출2200억, 영익 360억 정도는 소폭 하회할 듯.
2. 내년 실적 (칠러 장비 중심으로)
- 삼성p3증설을 비롯한 p4~p6까지의 증설로 인해 칠러 매출 급증은 단기적인 수요가 아닌 몇년의 구조적 수요일 것으로 사측은 인식하는 중.
펠리클은 연 15%씩 꾸준히 성장 중.
3. 현재 원자재가 상승으로 인한 실적 훼손 여지는?
- 물류 비용이 워낙 올라서 부담이 없진 않지만, 상품 재고관리 및 원재료 재고가 어느정도 확보가 되어있어 현재까지는 큰 부담은 없음. 크게 매출을 훼손할 정도는 아니고 작년 1600억에 비해 2000억정도는 그냥 넘는 yoy 20% 매출 상승이라 큰 문제는 아니라고 함.
4. Euv관련 장비들에 대한 매출은 언제쯤??
- 현재 고객사들도 euv설비를 본격적으로 확충 전이라 팹에 실제로 어느정도로 납기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음.
- 회사는 걱정할게 없는 것 같음. Euv 장비에 대한 모멘텀은 확실히 있는거 같아. 그리고 칠러발 매출을 여러번 사측한테 물어봐도 몇년간의 장기적 성장에 대한 확신이 있으시더라. 내일 실적 나오니까 잘 봅시다.
컨센 eps 1900원 ~ 사측 예상 eps 1600원대 후반 이면 현재 10배 초중반이고 내년은 10배 언더로 떨어져. 내년에도 기업은 실적이 올해보다 좋을 것으로 보고 있고, 많이 떨어졌고 쫄거 없는 가격은 맞는거 같아요. 자기 확신이 있고 충분히 공부한 형들은 ?까지 가봅시다. 다들 힘내시고 즐겁게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MY엑셀분석]
1.ROE, 영익 모두 감소...hmm
 PER 20 > ROE 12 > 영익9.5

2.매출액은 그래도 전분기대비 40% 상승.
  매출원가율도 낮아짐 Good
  이모든원인은 판관비율증가!!!!!!!
  그래서 영익 전분기/전년 대비 -55%/-12%, 당순 -62%/-26%

3.원래 3분기는 별로 안좋음. 4분기도 원래 별루

4. 자산은 꾸준히 증가중

5.EPS증가가 거의 없어서...PEG가 개망

6.번돈보다 더 많이  CAPEX 투자중

7.매출채권이 살포시 줄었넹...
  재고자산도 늘고...좋은 신호가 아닌데..

사업부별분석
1. 반도체펠리클(22%)은 여전히 꾸준히 증가(전년보단 줄었지만 전년이 워낙 잘나감)
2. LCD펠리클(12%)도 꾸준한데...관심사는 아니여
3. 사실여긴 칠러회사(58%비중), 칠러수요도 꾸준하네 -> 매출액은 증가하긴했지

4.제품가격은 펠리클은 꾸준히 감소..하지만 칠러는 상승 5.가동률은 여전히 펠리클은 45%정도. 반면 칠러는 풀 케파..
  펠리클....보고 들어왔는데..물론EUV이지만

21.2Q와 3Q 변화

1.화인세라텍 지분율 감소

2.연구개발실적-EUV관련

3.지적재산권

4.종속회사이솔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액 40%증가, 매출원가40%증가 매출총이익40%증가 ->OK..매출원가가 좀 줄어들었으면...
판관비가 70%증가!!-> 주석으로 가보자
급여&경상연구 개발비 증가 -> 이건 긍정적으로 보자
감가상각비 증가->이건좀.....왜 증가 됬지..알수가 없네 (원래 이정도 판관비대비 8.5%정도 유지). 큰 차이 없음.

만약 판관비가 예년과 비슷했다면 
영업이익은 120억일꺼고, 당기순이익은 60억 가까이 나오지 않았을까

[블로그-리아밍거]
영업이익 감소는 판관비(연구비증가), 종속회사(화인세라텍, 이솔)의 비용발생
지난 분기보고서와 비교해보면 추가로 화인세라텍에서 22억, 이솔에서 7억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손실을 너무 안타까워 할 필요는 없는게 화인세라텍의 경우 파일럿 생산이 진행 중이고, 이미 고객사에게 30억 가량의 샘플 매출이 발생하였다.

4분기까지는 아마도 이러한 종속회사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지도 모르겠지만, 내년에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비용으로 보면 될꺼 같다.

포괄손익계산서로 확인해보면 3분기 매출액 478억 영업이익 73억으로 OPM 15%로 1분기 17%로 보다 살짝 낮아졌지만 실제로 우려할 정도는 아닌거 같다.

이번 분기보고서에서 2가지 업데이트가 흥미롭다. 

첫번째, 이솔 EPTR에 대한 내용이다. 에프에스티는 자체적으로 euv 광원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최근에는 EUVO160 광원을 사용하는데 올해 4분기에 이솔의 EUV 펠리클 검사장비인 EPTR 설비에 셋업 예정이라는 문구가 생겼다. EUVO 160은 EPTR 뿐만 아니라 이솔에서 개발 중인 모든 장비에 사용 될 예정이다. 이솔의 개발 중인 많은 장비가 있지만 가장 빠르게 매출이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비는 EPTR이다.

이 장비와 함께 알아야 하는 장비가 하나 있는데 바로 FST 개발 완료한 EPIS를 같이 살펴봐야 한다.
에프에스티는 EUV 펠리클을 검사하는 장비를 2가지 타입으로 개발 완료했다.
첫번째, 에프에스티의 EPIS는 DUV Pellicle 검사 기술에서 확장해서 EUV Pellicle의 멤브레인, 프레임, EUV 마스크 뒷면 결함을 검사한다.
두번째, 이솔의 EPTR은 EUV 광원을 이용하여 EUV Pellicle 투과율과 반사율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앞으로 이 두 장비는 Mask shop과 wafer fab에서 euv 펠리클을 검사할때 사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펠리클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두번재, 이솔의 EUV Microscope 개발 완료와 고객사 평가 중.

이솔은 EUV 광원을 이용하여 마스크 검사에 필요한 기존 렌즈를 '존플레이트 렌즈'로 대체하면서 blank defect review 하는 장비를 개발 했다. 렌즈 가격을 500분의 1 수준으로 낮췄으며, 하이(High)-NA 시대 이후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장비도 지속 개발 중에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1.10.12)
삼성전자는 반도체 웨이퍼(원판) 생산량 수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올해 기준 파운드리 설비 규모가 2017년의 1.8배로 성장했다며 2025년 3배, 2026 3.2배로 키운다는 계획을 포럼 참석자들과 공유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로 주목받는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고성능 반도체 생산 비중도 같은 기간 10%에서 32%로 확대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년도 연결감사보고서>

2013년 8월 23일 설립되어, 시각 데이터(이미지,비디오)를 활용한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의료용기기 제조업 및 기타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을 주요 사업

연결대상 종속기업
Lunit USA, Inc. (미국) Lunit China Co.,Ltd(중국)

<메디퓨리 블로그>

<홈페이지>
루닛은 "Learning Unit"을 줄여 만든 이름으로,
암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하고 제공하는 의료 AI 기업입니다.
루닛은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더 정확한 암 진단과 치료 효과 예측이 가능해지고,환자를 위한 신속한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는 시대를 열고자 합니다.

서범석(CEO) : KAIST 생명과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을 마친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보건학 석사와 MBA를 취득하였고, 풍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Hepatology, Annals of Oncology 등 저명한 국제 학술지에 3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습니다

백승욱(CIO) : KAIST 전자공학과에서 디지털 프로세서의 열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

박현성(CFO) : 한양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KAIST 경영대학에서 경영공학 석사,  신라젠에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등 투자와 관련한 다양한 경험

제품: 흉부X-ray 영상 분석 솔루션, 유방촬영술 영상 분석 솔루션, AI 기반 면역항암제 예측 바이오마커,PD-L1 발현 분석 솔루션

,<잡플래닛>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루닛'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도 루닛 애널리포트  (0) 2022.11.06
루닛 뉴스 모음 (~22.11.06)  (0) 2022.11.06
[루닛] 21년 사업보고서  (0) 2022.03.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