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그에 유리한 방향으로 견해를 형성한다.. 이럴떄 진정 필요한거싱 바로확고한 투자철학이다. 원칙을 세우고 이를 지켜 투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존보글(뱅가드그룹)-단순함이라는 원칙을 통한 비용절감

제임스사이먼스(제임스사이먼스)-스톨링텔링의 배제

루벤스타인(칼라일그룹)-국가중심가치관

데이비드 스웬스(예일대학기금)-애교심에 기초한 장기분산투자

금융시장은 어떤 상품을 다루든 초기에 진입해야만 높은 시장점유율과 함께 높은 마진을 챙길수 있다.

뛰어난 투자가라면 시장이 활황일떄 상위권 성적을 내고, 불황일땐 최고 성적을 낸다.

정답률을 높이는게 아니라 틀렸을때 재빨리 바로잡는 능력이다. 상황과 사람에 대한 빠른 적응력

그해 목표 10가지를 정해 메모한다. 그리고 성취도를 중간중간 계속 점검한다. 연간 목표와 함께 중기 및 장기 전략도 수립에 적어두고 수시로 확인한다. 

열번중 여섯번만 맞춰도 훌륭한 투자가라고 하는데 나머지 네 번에 대한 반성은 충분히 하는지 의문이다.

내 결정이 옳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잘못된 의사결정에 대한 두려움

아는것보다 모르는것이 훨씬 많다. 그렇기 떄문에 아는것 보다 모르는 것을 어떻게 잘 다룰지 아는것이 더욱더 중요하다.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일은 절대로 벌이지 않느다. 숫자를 기반으로 한 분석에 집착하고 동물적 본능이나 직관가이 감정이 개입할 여지가 있는 수단에 의존하는 의사결정에는 부정적이다.

강세장에선 가격이 한없이 올라가기만 할것같아 지나치게 흥분하고, 반대로 약세장에서는 가격이 바닥을 지나 끝없이 떨어질 것 같아 패닉에 빠지는 상황이 반복된다.

728x90
반응형

'마인드셋 > 책책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 레슨  (0) 2023.02.12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0) 2023.01.25
2050에너지제국의 미래  (0) 2022.12.17
파친코  (0) 2022.09.29
반도체 애널리스트의 리서치 습관  (0) 2022.09.23
728x90
반응형

Sub a종합점수CLKa()
    Do While Cells(4, 7 + find_blank_cell) <> "" '//마지막 데이터까지 추출
        find_blank_cell = find_blank_cell + 1
    Loop
    last_num = 7 + find_blank_cell - 1 '셀(4,7)에서 시작해서 마지막 셀 찾기

    
    '_1.
    val_1 = Cells(6, last_num) * 100
    If 5 <= val_1 And val_1 < 10 Then
        re_1 = 2
    ElseIf 10 <= val_1 And val_1 < 15 Then
        re_1 = 4
    ElseIf 15 <= val_1 And val_1 < 20 Then
        re_1 = 6
    ElseIf 20 <= val_1 And val_1 < 25 Then
        re_1 = 8
    ElseIf 25 <= val_1 And val_1 < 30 Then
        re_1 = 10
    Else
        re_1 = 0
    End If
    Cells(6, 4) = re_1
    
    '_2.
    val_2 = Cells(8, last_num) * 100
    If 5 * 0.7 <= val_2 And val_2 < 10 * 0.7 Then
        re_2 = 2
    ElseIf 10 * 0.7 <= val_2 And val_2 < 15 * 0.7 Then
        re_2 = 4
    ElseIf 15 * 0.7 <= val_2 And val_2 < 20 * 0.7 Then
        re_2 = 6
    ElseIf 20 * 0.7 <= val_2 And val_2 < 25 * 0.7 Then
        re_2 = 8
    ElseIf 25 * 0.7 <= val_2 And val_2 < 30 * 0.7 Then
        re_2 = 10
    Else
        re_2 = 0
    End If
    Cells(8, 4) = re_2

    '_3.
    val_3 = Cells(10, last_num) * 100
    If 60 <= val_3 And val_3 < 70 Then
        re_3 = 1
    ElseIf 70 <= val_3 And val_3 < 80 Then
        re_3 = 2
    ElseIf 80 <= val_3 And val_3 < 90 Then
        re_3 = 3
    ElseIf 90 <= val_3 And val_3 < 100 Then
        re_3 = 4
    ElseIf 100 <= val_3 And val_3 < 110 Then
        re_3 = 5
    Else
        re_3 = 0
    End If
    Cells(10, 4) = re_3

    '_4.
    val_4 = Cells(11, last_num) * 100
    If -1 <= val_4 And val_4 <= 1 Then
        re_4 = 5
    ElseIf -2 <= val_4 And val_4 <= 2 Then
        re_4 = 4
    ElseIf -3 <= val_4 And val_4 <= 3 Then
        re_4 = 3
    ElseIf -4 <= val_4 And val_4 <= 4 Then
        re_4 = 2
    ElseIf -5 <= val_4 And val_4 <= 5 Then
        re_4 = 1
    Else
        re_4 = 0
    End If
    Cells(11, 4) = re_4

    '_5.
    val_5 = Cells(13, last_num) * 100
    If 40 <= val_5 And val_5 < 50 Then
        re_5 = 2
    ElseIf 50 <= val_5 And val_5 < 60 Then
        re_5 = 4
    ElseIf 60 <= val_5 And val_5 < 70 Then
        re_5 = 6
    ElseIf 70 <= val_5 And val_5 < 80 Then
        re_5 = 8
    ElseIf 80 <= val_5 Then
        re_5 = 10
    Else
        re_5 = 0
    End If
    Cells(13, 4) = re_5

    '_6.
    val_6 = Cells(15, last_num) * 100
    If val_6 < 50 Then
        re_6 = 5
    ElseIf 50 <= val_6 And val_6 < 70 Then
        re_6 = 4
    ElseIf 70 <= val_6 And val_6 < 90 Then
        re_6 = 3
    ElseIf 90 <= val_6 And val_6 < 120 Then
        re_6 = 2
    ElseIf 120 <= val_6 And val_6 < 150 Then
        re_6 = 1
    Else
        re_6 = 0
    End If
    Cells(15, 4) = re_6
       
    '_7.
    val_7 = Cells(16, last_num) * 100
    If val_7 < 5 Then
        re_7 = 5
    ElseIf 5 <= val_7 And val_7 < 10 Then
        re_7 = 4
    ElseIf 10 <= val_7 And val_7 < 20 Then
        re_7 = 3
    ElseIf 20 <= val_7 And val_7 < 30 Then
        re_7 = 2
    ElseIf 30 <= val_7 And val_7 < 40 Then
        re_7 = 1
    Else
        re_7 = 0
    End If
    Cells(16, 4) = re_7
    
    '_8.
    val_8 = Cells(18, last_num)
    If val_8 < 0.5 Then
        re_8 = 5
    ElseIf 0.5 <= val_8 And val_8 < 1.5 Then
        re_8 = 4
    ElseIf 1.5 <= val_8 And val_8 < 2.5 Then
        re_8 = 3
    ElseIf 2.5 <= val_8 And val_8 < 3.5 Then
        re_8 = 2
    ElseIf 3.5 <= val_8 And val_8 < 4.5 Then
        re_8 = 1
    Else
        re_8 = 0
    End If
    Cells(18, 4) = re_8

    '_9.
    val_9 = Cells(19, last_num)
    If val_9 <= -0.4 Then
        re_9 = 5
    ElseIf val_9 <= -0.3 Then
        re_9 = 4
    ElseIf val_9 <= -0.2 Then
        re_9 = 3
    ElseIf val_9 <= -0.1 Then
        re_9 = 2
    ElseIf val_9 <= 0 Then
        re_9 = 1
    Else
        re_9 = 0
    End If
    Cells(19, 4) = re_9
       
End Sub







728x90
반응형

'파이썬+V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driver.Chrome 에러  (0) 2023.02.03
[Python] 다중기업 주요재무현황 추출  (0) 2023.01.06
성별합계  (0) 2022.12.13
매크로 만들기  (0) 2022.11.07
kosis 크롤링  (0) 2022.10.07
728x90
반응형

EU는 LNG 수입 확대 위해 FSRU 영끌(다올투자증권)

FSRU :

1. 네덜란드는 2개를 배치하고 추가로 1개의 FSRU 투입을 스터디 중. 독일은 용선한 6개의 FSRU 중 1호선을 11월에 운영 개시했고, 12월에 2호선이 도착 예정인데, 2023년에 추가로 3기를 추가 도입할 가능성 있음

2. 그리스 총리는 최대 4기의 FSRU를 도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태리의 SNAM도 4개의 FSRU 도입을 협의 중, 핀란드는 12월에 1기의 FSRU를 도입해서 이웃 국가 Estonia와 함께 운영할 예정

3. 이외에도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도 여럿 FSRU 도입 사업을 협의 중

4. TotalEnergies Gas & Power는 향후 2년 간 유럽에 20기 이상의 FSRU가 도입되어 40MTPA의 수입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

5. LNG-FSRU는 신조와 (노후선) 개조의 두 가지 형태로 공급 가능. 한국 조선업은 DSME, SHI, HHI 순서로 LNG-FSRU 건조 이력을 늘려왔고 총 32기를 수주 및 건조. 올해 오랜만에 현대중공업이 FSRU 1기 수주

6. 어차피 한국 조선업의 LNG 건조 CAPA는 늘려서 65척 안팎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2026년 인도물은 완판되었고, 아직 슬롯 영업을 개시하지 않은 2027년 인도물도 카타르와 모잠비크가 차지하고 있어 슬롯이 희박한 상황. 여기에 LNG-FSRU 수요까지 추가

7. EU의 FSRU 도입 증가의 의미는 LNG선 신조선가 계속 상승. LNG선 수요에 더불어 LNG-FSRU 수요까지 덧붙어 신조선가 상승 압박은 계속될 것. 최근 초기 2023년에서 2027~2028년으로 인도가 지연 중인 ExxonMobil의 모잠비크 LNG용 17척(HHI, SHI)의 신조선가가 260백만달러로 조정된다는 보도도 전한바 있음. 또한 올해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LNG-FSRU의 신조선가가 무려 332백만달러로 아주 좋은 가격을 기록해 수익성은 LNG선 이상일 수 있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어떤 산업의 미래를 전망할때 가장 중요한 지표는 그 분야로 돈과 사람이 몰리는지 여부입니다.

투자자와 인재의 관심도 석유가 아닌 새로운 에너지원과 4차산업 관련 분야로 집중되고 있다

석유로 만들었던 각종 플라스틱, 합성섬유 등의 생산량이 줄어들어 모든 상품이 귀해지고 목재 금속 등 모든 물질의 가격이 올라간다.

재생에너지와 석유는 그 쓰임이 달라서 서로의 대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석유를 이용한 발전비중은 3~5% 수준이며 화력발전은 대부분 석탄과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재생에너지는 전기 생산을 위한 발전용으로 대부분 사용한다.

재생에너지는 발전용 에너지로 비중을 늘려갈것

탄화수소 개질 과 수전해 이 두가지 방식에 미래의 수소 공급을 의존해야한다.

수소 암모니아 발전의 비중이 커질수록 암모니아를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비축할 필요성은 커진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분산형 전원이 미래의 발전 형태로 요규되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을 것이다.

수소의 밸류체인은 재생에너지 발전, 수전해기술, 추출기술,액화와 운송선건조, 연료전지 생산, CCS 그리고 비축등 여러분야의 능력을 포괄한다.

전력생산이 증가하려면 생산 시설의 증가뿐만 아니라 국가 송배전망의 대대적 증설과 시스템 개편도 필요하다.

미래 에너지 안보의 중요한 축은 전기의 안정적 공급망, 이른바 그리드(grid)의 안정적 구축이다.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이 필요하고 이렇게 송배전망이 고도화 지능화되어 전력 수급을 조절하는 소위 '스마트그리드'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현재 에너지 저장수단으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수소다. 재생에노지 발전량이 많을 때 전력계통으로 보내지 않고, 그것을 동력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은 재생에너지의 불규칙성을 보완하는 이상적 방법이다.

이산화탄소를 포집 후 다른 사업에 활용하여 소진하는 것이고, 나머지 400만톤은 지중에 '저장'하여 격리한다는 계획이다. 전자를 CCU라 하고 후자를 CCS라 하며 통칭해 CCUS라 한다

수소의 효용에 대해서 명확하게 두가지로 설명하더군요. 재생에너지 발전얄ㅇ이 수쇼 이상으로 생산될때 여유분의 전기를 저장하는 수단, 그리고 전기화가 어려우ㅠㄴ 부문에서 에너지원으로서 활용한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마인드셋 > 책책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0) 2023.01.25
월가의승자들-최정혁  (0) 2022.12.25
파친코  (0) 2022.09.29
반도체 애널리스트의 리서치 습관  (0) 2022.09.23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0) 2022.09.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