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무슨일이 있었나?

Draft Table(23.4Qvs 24.4Q)

  • 30년 실리콘 수요 20만톤 -> 15.7만톤이라고 줄여서 말함
  • 2차전지 음극재 직전 3개년 매출 711->991억으로 증가
  • 전도성페이스트 : 기존 스마트폰,pc등 칩 부품에 적용, 최근 전기차, 자율주행용 전장부품에도 활용
  • 실리콘음극재 : 산화물 기반 음극재 연구 개발. 성능개선중
  • 태양전지전극재료 : 고효율 태양광 모듈용 전극재료 개발 진행중
  • 형광체: LED, 자동차용 헤드램프.
  • CAPA확대로 부채 비율 170% 인정. 
  • 24년 R&D: 방열재료, CNT, 고체전해질 등 고부가 기술력 확보
  • 자산 증가 : 음극재 설비 투자확대, 유형자산 1463억 증가.
  • 형광체재료: 차량의 LED 채택 증가에 따라 매출 확대.
    -
    > 근데 자동차는 이제 위기인데..25.2Q BYD재고감소로 안그래도 위기라고함
  • 음극재 yoy 109%증가. LGES, SK온 공급 확대. 글로벌톱티어 OEM업체와 제품공급 논의 ->??오디
  • 충분한 유동성 확보 자신
  • 진정한 가족기업. 매형 조카 삼촌 까지 다 주식 보유중ㅋㅋ
  • 그래도 임원들이 주식 소량이여도 많이들 들고 있음
  • 직원수도 증가

Draft Table(24.1Qvs 25.1Q)

  • 음극재 관련 신규특허도 꾸준히 냄

전자공시

  • 24.12.18 자산재평가
    토지 기존 장부가액 : 1180억
           재평가액: 1682억
    자산 502억 증가. 자산 및 자본 증대효과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
  • 25.1.24 교환청구권행사
    -교환주식수 : 84,182주 (발행주식총수 대비 0.54%)
    -교환가액 83,153원. 
    -교환주식수 남은거: 240,520

  • 25.03.26 음극재 공창 신 투자 미뤄짐
  • 25.04.29 공장 신설로 인해 사무실 복지시설 확충 투자도 미뤄짐
  • 25.04.01/25.05.27/25.06.04  임무현 전CEO 주식 야금야금 계속 매수

재무제표 확인하기

25.1Q  540억/48억/67억/시총 1조2800억

24Y  2193억/293억/364억/시총 1조6080억

  • 이제 확실히 흑자 기조로 들어섬
  • 25.1Q 는 24년도에 비해 실적이 안좋지만 캐즘 거린거 치고 선방한듯
  • 24.4Q ROE 16, 영익 13. PER43 -> 이게 역대급 잘나온거, 여긴 당순이 높아서 지표 좋아보임
  • 25.1Q ROE 11, 영익 8, PER 47 -> 그나마 선방. 여긴 주가가 떨어져서 지표 좋아보임
  • 24.4Q 당기순이익은 뭐지? 말도 안되게 높은거 보면 뭐 콩고물 떨어진게 있겠지.
  • 25.1Q 캐즘이라해봐야 전기차 잘나가던 22~23년도는 돈도 못벌던시절이고 24년 돈잘벌고 25는 소폭 감소
  • 매출원가율도 낮아진후로 유지하고 있고, 매출이 떨어졌으니 판관비율은 당연 올라가는거고
  • 자본 늘어남. 돈 벌고 있음.
  • 현금흐름도 어떻게든 마이너스는 안내려고함, 여전히 투자가 많긴함
  • EPS도 24.4Q 빼고는 젤 잘나옴
  • 매출채권도 계속 높은채로 유지. 
  • 유형자산 투자한만큼 매출액 증가하려면 매출액이 지금의 2배는 되야 만족할텐데...투자로 유형자산이 넘 커진 했음
  • 그래도 직원수 야금야금 느는거 보면 사업이 진행중인듯
  • 연간으로 24년도 보면 PER(30) > ROE(23) > 영익(13) 나쁘지 않음. 오히려 좋은정도

현금흐름 상황

  • 3분기 연속 영업현금 +
  • 차입금도 점차 줄여나가는중
  • 현금보유도 나름 증가

 

 

 

 

 

DART보고서 사항

  • 재고자산 충당률(특히 재공품) 충당률이 너무 높음. 버려지는 재고자산이 많다는건데.......
  • 아직도 건설중인 자산이 매우 많음. 투자가 이어지는중->투자끝나면 22년도에 비해 2배. 대략 22년도 2000억->25년 4500억
  • EVBITA  23년 200에서 25년 95까지 감소 
  • 아직 손익분기점도 못넘김.
  • 나노재료+형광체 매출 증가
  • 태양전지 전극재료 제품가 큰폭 상승 
  • 귀금속류 원재료가 큰폭 상승
  • 형광체 수출은 증가. 나노는 소폭 줄어듬. 나노가 중요한데
  • 대여금 줄어든건 굿. 이상한데 돈 쓰지 말자
  • 여전히 연구비가 매우 큼

뉴스 리포트 찾아보기

  • 신규 셀 고객사로 원통형 전지를 주력으로 하는 파나소닉을 확보
    추가로 파나소닉 확보-> 파나소닉은 테슬라 납품. 
  • 2025~2026년 테슬라 신규 제품 출시 수혜와 LG에너지솔루션(46시리즈) 및 파나소닉(2170)향 공급 비중 확대
  • 非중국 업체 중 가장 많은 Capa를 보유
  • IT 세트로의 어플리케이션 확장도 중장기 업사이드 요인
    27년에는 EV배터리 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IT 기기용으로의 탑재가 예정
  • 기존 모델들(E-tron GT, Tycan, EV9, EV3, 캐스퍼EV)+ 신규 모델 5종(아이오닉3, 아이오닉9 스텔란티스 2종, 테슬라 1종)
  •  SiOx 판매 부진은 전방 고객들의 재고조정 여파. 특히 포르쉐, 아우디향 재고조정 여파
  • 전방위적인 업황 부진
  • 미국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폐지. 26년 미국 판매 둔화.
  •  파나소닉향 Gen4~5매출 100억원 추정. 27년 Gen6는 2000억 전망
  • 실리콘 음극재 24년 기준 시장 침투율 2%. 글로벌 점유율 70%차지하는 BTR 중국기업 제재. 반사이익

 

 

 

아직은 재무지표는 안좋지만 실적은 나오기 시작함. 돈 벌기 시작한게 제일 중요.

캐즘이라지만 캐즘아닐때보다도 돈은 범

25.2Q 실적만 제대로 찍혀준다면 믿고 기다릴수 있겠음.

지금 불안한건 재고자산충당률이 너무 높아졌다는거. 그래서 한분기 더 지켜봐야겟음. 

지금은 아무것도 안하고 KEEP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3.03.20 키움 IT에서 이차전지 중심 소재 업체로 변화 중
2022년 영업이익은 120억원
IT 세트 수요 둔화로 매출 비중이 가장 높 은 전도성 페이스트 부문(별도 3Q22 누적 기준 46%)의 매출이 감소
실리콘음극재 4Q23~1Q24에는 주요 고객사를 통해 추가 차종에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공격적인 증설을 통해 실리콘음극재 시장 내 경쟁우위 확보
실리콘음극재와 형광체는 전년 대비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별도 3Q22 누적 기준 각 각 18%, 13%를 차지하며 매출 기여도는 아직 제한적인
2024년 실적은 매출액 3,137억원(+57%YoY), 영업이익 467억원(+108%YoY) 을 기록
전기차용 실리콘 음극재의 경우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해 포르쉐 타이칸으로만 납품
4Q23~1Q24 주요 고객사를 통해 추가 차종에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3~4개의 차종 추 정)
CAPA를 21년 1,000톤/년  23년 3,000톤/년  24년 10,000톤 /년  25년 20,000톤/년 등 공격적인 증설
전기차 시장 성장과 동반될 형광체 및 전장 용 MLCC 페이스트와 태양전지(후면전극전면전극) 부문의 성장

23.04.06 키움
히 현재 3wt% 수준인 첨가율이 24~25년에 7~8wt%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시흥 배터리캠퍼스와 새만금 산업단지에서 실리콘음극재 관련 증설 진행
시흥 장비 풀 가동 시 연간 6~8만톤의 실리 콘음극재 CAPA 확보가 가능

23.06.09 IB토마토
유동성 지표가 급격하게 하락
2021년만 해도 144.8%를 나타냈으나 지난해 말 65.3%로 떨어졌고 계속 악화
대주전자재료는 실리콘 음극재 증설에 공격적인 투자를 집행
 실리콘 음극재 증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버틸 수 있느냐가 관건
지난해 대주전자재료가 제시한 설비 투자 목표치는 479억원이었는데, 올해 1분기에는 1939억원으로 대폭 상향
재무부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차입금을 늘리며 공격적인 투자를 멈추지 않고 있다.

 실리콘 음극재의 진입장벽이 높다는 자신감
관건은 체력이다. 실리콘 음극재 증설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실적 개선을 통한 현금창출로 버텨야 하는 상황

23.07.06 유안타 실리콘 음극재 성장에 주목하라
2022년 기준 실리콘 음극재 양산 기업은 크게 2개 기업 정도로 1위는 삼성SDI, 파나소닉에 공급하는 중국 BTR,
그리고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하는 동사가 글로벌 2위
동사는 흑연 내 SiOx 중량 5wt% 수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tron GT 등에 적용 중
테슬라는 그동안 파나소닉을 통해 중국 BTR의 SiOx를 공급받았으나 미국에서는 다른 공급사의 SiOx를 적용하고 싶어함.
글로벌 양산 기업이 제한적인 만큼 SiOx 차종 확대 수혜는 중국 BTR과 동사가 양분

23.07320 NH
실적 전망치 상향은 신규 고객이 확정될 2H23~2H24 중 예상
신규 고객은 EV향과 IT 디바이스향으로 나눠서 진행
EV향은 원통형과 파우치고객 한 곳씩 샘플 검증 진행
모델 수는 현재 2종(Tycan, E-tron GT)에서 2024년 4종으로 확대
IT 디바이스향은 EV용과 달리 퓨어실리콘 형태로 흑연 음극재 100% 대체를 목표.
IT 디바이스전체에 퓨어실리콘이 탑재된다고 가정하면 연간 1조원 이상의 신규 매출액 발생
양산 난이도 감안시 판가가 EV용 대비 4~5배높을 전망
웨어러블 기기를 시작으로 2026년 본격 양산 예상
주력 차종인 포르쉐 Tycan이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2Q23 판매량이 8,839대로 저조

23.08.17 IBK
23.2Q  IT 업황 수요 회복. 나노재료는 QoQ성장 YoY역성장 타이칸 판매량 감소.
나노재료(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본격적인 성장은 24 년부터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대비 10배의 용량과 충전 및 방전 속도가 빨라 차세대 음극재로 각광 받고 있으며
내년부터 다수의 OEM 및 배터리 기업들의 차세 대 제품에 적용될 예정으로 동사의 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성장
실리콘 음극재 CAPA는 23년말 3천톤에서 25년말 2만톤으로 확대
나노재료 부문 매출액도 23년 272억원(YoY +2.4%), 24년 1,052억원 (YoY +286.8%), 25년 2,832억원(YoY +169.1%)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23.10.20 NH투자증권 11만원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로 실리콘 음극재 판매량 저조하나 2024년 실리콘 적용 차종이 2종 → 6종으로 확대되고, IT 디바이스향 양산준비도 순조롭게 진행중'
주력 공급 차종인 포르쉐 Taycan이 2024년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있어 저조한 판매(YTD 판매 성장률 +11%)를 보이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

23.12.5 키움 11만원
23.4q 실적 악화 . 연말 일회성 비용 및 고객사 재고조정 영향
BUT  2024년 실적은 매출액 2,568억원(+36%YoY), 영업이 익 196억원(+316%YoY)을 기록할 전망
첨가율 현 3%wt 수준에서 24~25년 7~8%wt 수준까지 증가
수익성의 경우 실리콘 음극재 투자 확대에 따른 비용 상승

24.1.29 상상 11만원
탑티어 배터리 셀(Cell)사 중 3개사를 고객
2024년에는 약 8개 차종에 동사의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

24.02.14 nh 9만
차량용 LED 형광체는 기존 고가 차량 중심의 판매에서 중가 차량으로의 저변 확대로 구조적 성장
 2024년에는 중국 신규 고객 2곳을 확보해 26%의 매출액 성장이 예상

24.03.20 NH 11.6만원
페이스리프트된 포르쉐 Taycan의 인도 시기가 여름(2Q~3Q)으로 계획되어 있어 선행 생산 물량이 공급
해당 모델은 배터리 용량 (93kWh→105kWh)과 첨가 비중(3%→6%) 모두 늘어났기 때문에 동사 CAPA 잠식 효과가 이전 모델 대비 2배 이상 큼

24.04.15 상상인 11만
 본업은 계절적 비수기,  실리콘 음극재가 호실적

24.04.15 키움 11만
음극재 뚜렷한 실적 개선.
지난해 3~4분기에 매출 이 급증했었던 형광체 재료 부문 및 기타제품(금속분말재료 등)의 출하량이 고 객사 재고 상승으로 줄어
형광체 재료의 경우 향후 실리콘 음극재와 더불어 동사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

24.5.10 NH 12.6만원
2Q24 재차 경신 예상. 흑자전환에도 성공한만큼 점진적인 이익 기여 기대'

24.05.14 키움 12만
실리콘 음극재 및 형광체 부문의 출하량이 크 게 증가했으나, 고객사 재고조정에 따른 태양전지 소재의 실적 부진으로 매출 은 전분기비 소폭 감소
특히 실리콘 음극재의 경우, 출하량이 2분기에 크게 늘 어날 것으로 보이며(3~4개 차종 추가 납품 추정), 매분기 실적 개선이 예상
CAPA 증설도 진행 중에 있어, 23년 3,000톤/년에서 올해 7,000톤
글로벌 IT사 향 IT용 실리콘 음극재 판매, 실콘 음극재 기술이 IT용으로 도 확대 가능
내년부터는 Ramp-up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도 가능

24.05.31 키움 14.7만
24년 매출액 2634억 ,282억 예상. 실리콘음극제, 형광체부문 큰폭 증가. 실리콘음극재 2분기 출하량 크게 상승.
3~4개 차종 추가 납품 추정. 2개차종->7~9개 차종 확대.

24.06.25 NH 16.4만
2Q까지 폭발적 성장. 3Q 쉬어. SiOx가 중저가 차량(EV3) 확대적용. 스텔란티스향 출하. 
형광체는 고객의 일시적인 재고조정으로 일시 둔화.

24.07.23 미래 15만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tron + 기아EV3 전기차 확대
매출다변화. 금속나노분말 특허. 실리콘음극재 우위. 4~5년 앞서.
24년 2401억/209억 -> 25년 4393억/584억 -> 26년 6190억/1009억 전망
LGES 실리콘 함량 증가 3~5%->7~8%. 
생산량 3천톤->24년 7천톤 -> 26년 1.5만톤
SK온 파트너쉽. 퀄테스트 통과.

24.08.14 키움 14.7만
3Q24 영업이익 84억원으로 전분기와 유사 수준의 영업이익 예상. 

24.08.14 NH 16.4만
3Q24에는 판가 인하 및 재고 조정으로 잠시 주춤할 것
4Q에는 분기최대매출 달성 전망 

24.08.14 미래 16.7
2분기 전도성페이스트, 폴리머 레버리지효과로 이익 증대.
형광체 일시적 재고조정으로 1분기 대비 10하락,

24.10.15 NH 15.8만
3Q24 매출액은 574억원(+7% y-y, -1% q-q), 영업이익은 78억원(+418% y-y, OPM +13.5%)
미국대선 불활실성. 음국재 탑재 프로제트 일부 연기

24.10.21 키움 13.5만
3분기 565억/76억예상
2분기 선제적 물량 확보, 판매둔화(포르쉐 타이칸), 신규프로젝트 지연 
형광체, 전극재료 실적개선, 실리콘 음극재 가동률 하락 예상.
4분기 644억/88억 예상
형광체, 전극재료 점진적 상승, 실리콘음극재 재고조정, 출시일정 지연, 전기차 수요 둔화.


24.11.14키움 13.5만 실적 차별화에 주목
기존 모델의 판매 둔화(포르쉐 타이칸 등) 및 일부 신규 프로젝트 탑재 지연(Stellantis, Ford) 영향으로 매출이 당초 시장 기대치(나노재료 매출 150~160억원)에는 못 미친 것으로 파악

25년 나노재료 부문 매출은 946억원(+85%YoY)으로 전년 대비 큰 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

 

24.11.14 NH 12 (목표가 하향) 불확실성이 걷힐 때까지 잠시 대기

 미국 EV 정책 불확실성 존재하나 2025년에도 SiOx 적용 확대 기조 유지될 전망

 

24.12.03 신한 11만(하향)
2차전지 음극재료 연구개발은 2011년 시작했으며 2019년부터 실리콘음극재를 양산
2025년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다변화 및 탑재 차종 확대가 본격
일부 차종의 출시가 2025년으로 지연, 많은 판매 물량을 기대할 수 있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을 최종 고객사로 확보 중
실리콘 음극재를 채택한 중저가 차종(EV3, 캐스퍼 EV)의 출시가 실적을 뒷받침한 것

신규 셀 고객사로 원통형 전지를 주력으로 하는 파나소닉을 확보
실리콘 음극재 수요가 급증하는 구간에선 고객사에 품질과 물량을 보증 가능한 유일한 기업
 2025~2026년 테슬라 신규 제품 출시 수혜와 LG에너지솔루션(46시리즈) 및 파나소닉(2170)향 공급 비중 확대가 예상

 

24.11.26 미래 12.5만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LG에너지솔루션(46시리즈) 및 파나소닉(2170) 향 공급 비중 확대. Mass 모델로의 확장 지속.
EV3 및 캐스퍼를 시작으로 OEM으로의 본격적인 확장

 

24.12.2 신한 11만 여전히 가파른 성장의 기울기
25년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다변화 및 탑재 차종 확대 본격화
원통형 고객 향 물량 및 4680 양산 일정 가시화
. 25년 실리콘 음극재 신규 차종 확보
전방 시장의 둔화를 고려해 실리콘 음극재 설비 도입은 탄력적으로 조절,
非중국 업체 중 가장 많은 Capa를 보유
1) 도전성 전극재료: MLCC를 비롯한 세라믹 콘덴서, 태양전지 등에 쓰이는 전극용 페이스트를 생산
                              매출 등락은 IT 세트 수요, 
                              삼성전기, 한화솔루션 고객
2)폴리머: 전자부품 절연 보호 위한 에폭시 도료, 인덕터, 콘덴스 등에 적용, 아비코전자, 우리산업 등 납품
3)형광체: 자동차 전장부품 LED채택 효과. 서울반도체, 삼성전자, 중국EV향 납품

4)실리콘 음극제: LGES, SK온, 파나소닉. 그외 신규고객사 확보

-SiOx: 대주전자, BTR, 신에츠 화학 채택. 주로 양산중인 기업들. 부피팽창 리스크 줄여. but 낮은 충방전 효율,넢은미용
-SiC: 높은 초기효율, but 충방전시 수명 짧아. 전기차보단 전동공구용 배터리 사용. 대량생산용이, 가격경쟁력우위
         BTR, SK머티, 포스코퓨처엠 도전

 

프리미엄 차종 위주탑재. 포르쉐타이칸, 아우디 e트론. 포르쉐 미진한 판매가 아쉬움.

기존의 파우치형 고객(LG에너지솔루션, SK온)

추가로 파나소닉 확보-> 파나소닉은 테슬라 납품. 

 

IT 세트로의 어플리케이션 확장도 중장기 업사이드 요인
IT기기의 시간당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탑재되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충전 속 도 또한 발전
글로벌 IT 세트 업체와 실리콘 음극재 개발 협업을 지속, 퓨어 실리콘 방식을 사용
스마트폰 외 태블릿,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 으로 적용 계획 중

 

25.01.15 미래 12.5만(하락) Tesla에 거는 기대. 모델Y 쥬니퍼 출시 수혜 예상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파나소닉 및 LG에너지솔루션 향 공급 비중 확대

 

25.01.15 NH 13만 끊이지 않는 성장 잠재력
'2025년 신규 탑재 모델 최소 5종 추가되며 SiOx 고성장 지속될 것.
2026년 이후 산화물계 전고체소재, 퓨어실리콘, CNT도전재 상용화가 예상
2025년 SiOx 매출액은 902억원(+79% y-y)을 예상
기존 모델들(E-tron GT, Tycan, EV9, EV3, 캐스퍼EV)+ 신규 모델 5종(아이오닉3, 아이오닉9 스텔란티스 2종, 테슬라 1종)

. 2024년 동사가 판매한 SiOx를 배터리 용량으로 환산하면 약 21GWh에 불과해 향후 확대 가능성 크게 열려있음
 SiOx 영업이익 기여도 역시 2025년 28%에서 2026년 40%, 2027년 60%로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


25.03.26 NH 13만 울퉁불퉁한 성장길'
2025년 신규 탑재 모델 6종 추가되며 SiOx 고성장 지속될 것. 다만 스텔란티스향 공급 성사 여부 확인 필요.
1Q25 SiOx 매출액이 88억원(+1% y-y, -20% q-q) 으로 예상(117억원) 대비 부진.
SiOx는 2024년 대규모 투자로 분기 고정비가 약 15억원 내외 상승
. SiOx 판매 부진은 전방 고객들의 재고조정 여파. 특히 포르쉐, 아우디향 재고조정 여파가 큰 것
 고무적인 점은 형광체 매출액이 BYD 등 신규 고객향 판매 증가에 힘입어 121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


25.04.02 유안타 13만. SiOx 중심 애플리케이션 확대
올해 실리콘산화물(SiOx) 신규 탑재 모델로 아이오닉·테슬라·스텔란티스 등 6종을 추가하며 애플리케이션 및 고객사를 확대
음극재는 배터리의 수명과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소재로, 실리콘을 활용한 음극재는 흑연계보다 용량이 10배 높다
EV 주행거리를 혁신적으로 늘리고 충전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대주전자재료는 6㎚ 수준의 SiOx를 공급 중이다.


25.04.23 한투12만 안정적인 성장이 돋보이는 소재주
2024년 역성장했던 여타 2차전지 소재 기업과 다르게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

실리콘 소재의 경우 양극재 소재(니켈, 코발트 등)에 비해 가격 등락폭이 적어 안정적인 OPM을 유지하는 점이 특징

. 실리콘 음극재 양산은 높은 기술적 난도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음.

현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BTR(중국), 신에츠(일본), 대주전자재료(한국)에 불과.

25.05.12 미래 11.5 2분기부터 탑라인 성장 예상
EV 수요 부진에 따른 전방 고객사 EV 목표치 하향 조정 을 반영하여 26년 및 27년 평균 예상 EPS를 -9.4% 하향 조정.
2분기부터 실적 우상향이 예상되는데, 1) 실리콘음극재 출하량 증가, 2) 형광체의 전장용 비중 확대에
5월부터 파나소닉향 양산용 실리콘음극재 출하가 시작
27년에는 EV배터리 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IT 기기용으로의 탑재가 예정

 

25.05.16 NH 10.7 '이 업황에 이 정도면 잘하는 중
전방위적인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동사 SiOx 매출은 40% 이상의 높은 성장을 이어갈 전망

 

25.07.01 NH 9.8 고무적인소식
미국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폐지. 26년 미국 판매 둔화.
파나소닉 북미 공장향 SiOx가 7월부터 본격출하. 테슬라 공급망 진입. 현재 SiOx Gen4~5 (용량 1800mAh/g), 27년 Gen6(용량 2100mAh/g) . 테슬라 사이버캡에 탑재 추정. 파나소닉향 Gen4~5매출 100억원 추정. Gen6는 2000억 전망

형광체 부문 BYD 재고조정여파로 둔화.

 

25.07.08 한투 10만 중장기성장스토리 유효
현기차 판매호조, EV4 신차 판매. 나노재료 매출 상승
형광체는 BYD 재고 조정으로 매출액 하락
실리콘 음극재 24년 기준 시장 침투율 2%. 글로벌 점유율 70%차지하는 BTR 중국기업 제재. 반사이익
파나소닉 실리콘음극재 밴더사를 대주전자 선택, 7월부터 본격 출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무슨일이 있었나?

Draft Table(사업보고서 vs 24.2Q)

  • 사업목적 : 이차전지 소재 제조 및 판매 추가 (매출액 기준 15.3% 비중)
  • 이엠디 주식회사 지분취득
  • 기타비상무이사 김정원 선임
  • 교환권행사로 주식수 증가
  • 실리콘 음극제 기상합성기술 적용. 팽창완화. 밀도 상승. 충전시간 단축
  • 30년까지 실리콘 음극재수요 15만7천톤 전망
  • 목표:초기효율(85~88%), 방전용량(1600mAh/g)
  • 현재:초기효율(85~88%), 방전용량(1400mAh/g)
  • 2차전지 음극재 매출 22~24년6월까지 762억원매출발생
  • 리스크 : 경쟁증가, 예상보다 시장형성 느림. 전지차둔화
  • 효울 88% 방전용량 1600mAh/g목표
  • 전극페이스트 중국 대만 시장 확대

전자공시

  • 24.05.30 교환청구권 행사
    15,480,593 중  137,095
  • 24.06.03 임중규 대표이사 주식 매도 5000주
  • 24.06.07 전환사채 발행결정 7회 또!또!또!
    -430억 (346,992주)
    -29.06.14까지 
    -이자율 0.0%, 만기이자율 2.0% 굿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위함
    -5회,6회,이번 포함 전환기능 총 주식수  1,445,647주
    -앞으로 나올 주식수가 넘 많음!
  • 24.06.07 전환사채 발행결정 8회
    -180억(145,252주)
    -29.06.17까지
    -이자지급없음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위함
    -자신감인지…뭔지
  • 24.06.17 김동호 비등기임원 123주 매수! 굿!
    -나보다 적군...
  • 24.07.01 김문수 비등기임원 2175주 매수! 굿!
  • 24.08.20 IR개최 싱가포르에서 골드만삭스 후원으로 IR?. 굿?!
    -자료는 영어...이런
  • 24.06.03 : 등기 임중규 5000 매도★!
  • 24.06.17 : 비등기 김동호 123 매수
  • 24.07.01 : 비등기 김문수 2175 매수

재무제표 확인하기

24.1Q 463억/50억/50억(대박!?)

24.2Q 582억/83억/65억(시작됬나?)

  • ROE14 영익14 하지만 PER아직도 75. 그래도 50이하는 와야지!
  • 매출원가율 감소 처음 70이하로
  • 시총상승속도도 매우 빠름
  • 영업현금은 아직 마이너스, 재무활동으로 현금 수급
  • 아직도 CAPEX 투자중
  • 매출채권 상승+매출액 상승
  • 나노사업부 확실히 상승세
  • 상해대주전자 매출 상승 시작
  • 대손 충당금이 좀 증가

DART보고서 사항

  • 재고자산 충당률이 매우 증가
    -재공품(미완성,판매불가) 평가충당금이 증가..??
  • 여전히 주전자는 공사중
  • EBITA 100까지 감소중…
  • 대손상각비(회수가 불가능) 증가
  • 손익분기점도 못넘김. (변동비상승으로 손익분기점이 높아짐)
    -변동비 상승에 재공품도 포함.
    -Why 재공품이 문제가 되었을까?
  • 그래도 매출액 특히, 음극재(나노 재료)매출 큰폭 증가! 젤 중요포인트!
  • 음극재는 대부분 수출
  • 연구개발도 꾸준히 많이
  • 건설중인자산> 현재 유형자산 총합.
  • 급여지출도 꽤나 증가
  • 수출비용, 전력비 증가

뉴스 리포트 찾아보기

  •  LGES 실리콘 함량 증가 3~5%->7~8%. 
  • 생산량 3천톤->24년 7천톤 -> 26년 1.5만톤
  • 3Q24에는 판가 인하 및 재고 조정으로 잠시 주춤할 것
  • 미국대선 불활실성. 음국재 탑재 프로제트 일부 연기
  • 올해 CAPA, 6천톤으로 조정
  • 현재 연산 3000톤 수준인 실리콘 음극재 생산능력을 올해 말까지 6000톤. 2만6000톤 규모의 추가 증설도 진행 중
  •  SK머티리얼즈, 실리콘 음극재 생산 시작…“샘플 공급
  • 포스코퓨처엠은 흑연계 음극재뿐 아니라 실리콘계 음극재를 개발해 양산
  • 테슬라 2170 배터리용 실리콘 음극재 공급사를 기존 중국 BTR에서 한국 대주전자재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18.09.10 유상증자 결정
제3자배정증자 (기명식 전환우선주)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 743,604주
최종 발행가액 : 26,896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

2018.12.18 대주전자재료1우선주(전환) (비상장) 전환가액 조정
   1) 조정전 전환가액 26,896원
   2) 조정후 전환가액 21,517원


     (2) 조정전 전환가능 주식수 : 743,604 주
     (3) 조정후 전환가능 주식수 : 929,493 주

-> 돈 빌려준 사람이 주식가격이 떨어져서 리픽싱 요청(전환가액 하락).
    그러면 주식수는 늘어남.
    이상황에서 주식가격 올라가면 개꿀. 
    하지만 기존 주주는 짜증,

2021.07.15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청구
전환우선주 74,360주(대주전자재료1우선주(전환))는 다음과 같이 보통주로 전환청구 -> 주식수 늘어남. 기존주주 안좋아

2021.10.19 전환사채권 발행결정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총액 : 79,999,921,188원 (800억)
사채만기일 : 28.11.15
이자 지급 : 표면금리는 연 0.0%
전환가액 : 103,356원
주식수 : 774,023
전환가능기간: 22.11.16~28.10.25
대주전자재료가 전환사채 800억. 즉 103,356원 짜리 주식 774,023개를 A씨한테 준다.
즉 A씨는 대주전자재료에 800억을 투자한셈
가장 좋은건, 대주가 28년도에 돈 값아야 할때 이자따위는 안줘도 된다는거.
그러면 A는 멀믿고 투자를 한건가? 28년까지 103,356원 보단 훨씬 주식이 비싸질꺼라 생각.
중간에 대주 주가가 20만원 되면 A는 팔고 주식이 시장에 나옴. A는 돈받구 기존주주는 악재. 

21.11.17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금액 : 24억
목적 : 주가안정 주주가치 제고

22.05.19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금액 : 24억 -> 100
목적 : 주가안정 주주가치 제고

22.10.13 단기차입금 증가 결정
차입금액 : 450억
차입후 : 1023억
목적 : 음극재 생선 설비 투자
차입형태 : 금융기관 차입.

22년 증권소유
05.02 : 비등기 이정현 129 매수 
07.07 : 비등기 송광현 20000 매수
07.13 : 비등기 이성호 600주 매도

23.01.02 신규시설투자
금액 663억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공장동 추가신축

23.01.26 신규시설투자
금액 283억
이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원재료 및 연관 소재 생산 부지 확보(새만금)

23.05.24 단기차입금 증가 결정
차입금액 : 215억
차입후 : 1396억
목적 : 새만금생산부지 매매
차입형태 : 금융기관 차입.

23.07.26 신규시설투자
금액 231억
실리콘 음극재 제조시설 확대에 따른 전력망 확보

23.08.29 신규시설투자
금액 131억
실리콘 음극재 제조시설 확대에 따른 설비구매

23.11.02 교환사채 발행결정 6
384억, 교환가액 83153원, 표면이자율 0%, 만기이자율 2%. 
53년 11월 21일까지.
교환대상 주식수 461,799주. (2.98%)

23.11.21 자기주식처분결과보고서
교환사채 발행에 따라 461,799주 처분->돈빌려준 사람한테 주는거?->돈 빌려준사람은 난중에 83153원에 바꾸던지, 아님 주식이 올랐으면 주식으로 받아서 오른가격에 내다팜!?

23.12.07 김동호 전무 70주 매수! 굿!

24.01.02 강석학 임원 5000주 매도ㅜㅜ나쁜!

24.01.31 신규시설투자
192억. 음극제 제조시설 확대. (~25.04.30까지)

24.03.29 정기주총 결과
임씨 패밀리 재선임
이원상 밸류 트레이딩 대표, 천보화학 이사 선

24.06.03 임중규 대표이사 주식 매도 5000주

24.06.07 전환사채 발행결정 7회
또또또
430억 (346,992주)
29.06.14까지 
이자율 0.0%, 만기이자율 2.0% 굿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위함
5회,6회,이번 포함 전환기능 총 주식수  1,445,647주
앞으로 나올 주식수가 넘 많음!

24.06.07 전환사채 발행결정 8회
180억(145,252주)
29.06.17까지
이자지급없음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위함
자신감인지…뭔지

24.06.17 김동호 비등기임원 123주 매수! 굿!
나보다 적군

24.07.01 김문수 비등기임원 2175주 매수! 굿!

24.08.20 IR개최 싱가포르에서 골드만삭스 후원으로 IR?. 굿?!
자료는 영어…이런


23.02.15 : 등기 임무 2630매수
23.03.06 : 비등기 김문수 995 매도
23.03.10 : 등기 임중규 4990 매도
23.03.10 : 등기 임무현 13,900매수 ★ 
23.03.20 : 등기 임무현 27,668 매수
23.04.04 : 국민연금 156,593 매도
23.04.05 : 비등기 강성학 200매도

23.04.05 : 등기 임무현 36,777 매수 
23.04.18 : 비등기 이성호 140매도

23.05.09 : 등기 임무현 1200 매수 
23.05.18 : 등기 임무현 2402 매수 
23.07.26 : 등기 임중규 5000 매도  
23.08.23 : 비등기 이기연 450 매수
23.09.08 : 비등기 김문수 2100 매도
23.11.03 : 비등기 김문수 600 매도
23.12.07 : 비등기 김동호 70 매수
24.01.02 : 비등기 강성학 5010 매도
24.03.07 : 비등기 이영호 6447 신규 매수
24.03.07 : 비등기 백은주 2821 신규 매수
24.06.03 : 등기 임중규 5000 매도 
24.06.17 : 비등기 김동호 123 매수
24.07.01 : 비등기 김문수 2175 매수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4.09.25 고품질 실리콘 음극재 대량생산...국내선 경쟁사 없어
양산기술을 확보한 상태서 재료 기술을 개발하기 때문에 저희처럼 균일한 품질로 실리콘 음극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곳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년 전체 매출 절반 차지 전망…올해 CAPA, 6천톤으로 조정
시설과 개발에 대한 투자를 너무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이익이 나는 구조는 아니다

24.09.25 실리콘 음극재 매출 1조 목표…'5분 충전'
"올해 560억원 이상의 매출, 추후 1조 목표
현재 연산 3000톤 수준인 실리콘 음극재 생산능력을 올해 말까지 6000톤. 2만6000톤 규모의 추가 증설도 진행 중
 장기적으로는 연산 10만톤 정도의 생산능력을 갖추는 게 목표
2028년부터는 흑연이 없는 실리콘 단독 음극재를 출시할 계획

24.09.24 SK머티리얼즈, 실리콘 음극재 생산 시작…“샘플 공급”
생산능력이 연간 2000톤 규모인 실리콘 음극재 공장을 완공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은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된 배터리를 양산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국내 대주전자재료, 중국 BTR, 일본 신에츠 정도로 제한적
대주전자재료는 실리콘산화물(SiOx) 제품을 양산하고
SK머티리얼즈그룹14가 생산하는 소재는 실리콘탄소복합체(SiC) 방식

24.09.24 삼성전기가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소형)를 개발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과 양극을 오가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해질을 액체 대신 고체를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
외부 충격과 온도 변화에 강해 화재 위험성이 낮다
분리막, 냉각, BMS(배터리 관리 장치) 등의 부품이 줄어.

24.09.03 배터리 핵심소재 ‘음극재’ 중국 의존도 심각
중국은 지난해 12월 흑연 수출을 허가제로 전환해 사실상 수출 통제
포스코퓨처엠은 흑연계 음극재뿐 아니라 실리콘계 음극재를 개발해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24.08.15 테슬라 '뉴 2170' 양산 초읽기…달라지는 특징
2170(지름 21㎜·높이 70㎜)' 원통형 배터리 탑재를 추진
5300mh로 단일 배터리 용량이 증가
 니켈 함량이 기존 90%에서 95%로 올린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 양극재가 적용될 예정(엘엔에프)
2170 배터리용 실리콘 음극재 공급사를 기존 중국 BTR에서 한국 대주전자재료
대주 실리콘 음극재는 파나소닉에 우선 적용되고 추후 LG에너지솔루션이 만드는 2170에 적용이 예상

24.08.10 SIB, 실리콘 음극재 등 배터리 차세대 기술 중요성 
소듐이온 배터리(SIB) 등 다양한 차세대 배터리 소재
소듐이온 배터리는 풍부한 나트륨을 주원료로 사용,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30% 이상 저렴,저온에서도 효율 높음
일반적으로 음극재는 흑연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실리콘의 활용도도 높아지고 있다

24.07.31 대주전자재료, 파나소닉에 실리콘 음극재 공급 테슬라 전기차 탑재 임박

24.06.11 EV3'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배터리가 탑재

24.06.07 610억 전환사채 발행
제7회차 전환사채 430억원과, 제8회차 전환사채 180억원을 각각 오는 14일, 17일 발행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시설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는 이달부터 2026년 6월까지 2년에 걸쳐 진행

24.05.14 1분기 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포스코퓨처엠과 대주전자재료 2곳 뿐이다

24.05.10 2차전지 ‘꿈의 소재’ 실리콘 음극재 뭐길래
천연흑연은 저렴하지만 사용 중 팽창 문제가 생겨 구조적 안정성이 점차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
인조흑연은 천연흑연보다 구조가 균일해 안정성이 높다. 다만 추가로 제조 공정을 거쳐야 해 가격이 비싸다. 
일단 실리콘 음극재의 단위 에너지 용량이 흑연보다 20배 이상 높다
흑연 음극재보다 에너지 밀도를 4배가량 높일 수 있다
실리콘 음극재 비중이 10%를 넘으면 대략 30분 이상 걸리는 전기차 충전 시간을 5분가량으로 줄일 수 있다.
실리콘 음극재 수요는 올해 1만t에서 2030년 15만7000t으로 15배가량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 음극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30년 7%, 2035년 10% 수준
 대주전자재료의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전기차는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트론 2개 차종이었다 올 들어 9종으로 늘었다

24.05.10 실리콘 음극재 도전 대주전자재료, ‘소부장 으뜸기업’ 선정

24.04.23 배터리•소재, 전기차 충전문제 해결사 '실리콘음극재'에 주목
지난해 6억달러(약 8000억원) 규모였던 실리콘 음극재 시장 규모는 2030년 43억달러(약 5조 8000억원)로 성장할 전망

24.04.12 보급형 전기차에도 실리콘 음극재 쓴다…현대차, 포드 등 본격화
대주전자재료는 북미 전기차 1위 기업,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SK온 등으로 협력 관계를 확대
 포르쉐, 스텔란티스, 현대차, 포드 등의 전기차에 대주전자재료의 실리콘 음극재

24.04.05 대주전자재료, CAPEX 비중 70% 돌파…이자부담 '심화'
실리콘 음극재 생산 기업인 대주전자재료가 작년 전체 자산 중 유형자산의 비중이 70%
작년 음극재 생산 시설에 대한 막대한 투자
 2030년까지 음극재 생산 능력을 현재보다 20배 이상
비용 구조상 인건비와 상각비 등 고정비용보다 원재료 매입가에 영업이익이 크게 휘둘리는 구조다. 
매출원가의 80%를 차지하는 것은 원재료 매입가다.

24.04.01 대주전자재료 실리콘 음극재 탑재 車 2→9종…실적 청신호

24.03.08 인터배터리
업계 최고 수준인 90% 효율의 실리콘재료를 2026년 양산 계획
2030년까지 최대 10만톤의 2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설비를 구축해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8만톤 캐파)
올해 확보한 캐파(CAPA) 연간 3000톤을 시작으로 내년 1만톤, 2026년 2만톤, 그리고 최종적으로 2030년 최소 8만톤을 확보할 계획

24.01.31 대주전자재료, 191.8억원 규모 신규 시설투자 결정

23.11.15  대주전자재료, SK온 맞춤형 실리콘 음극재 내년부터 공급
 2019년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해 포르쉐 순수 전기차 타이칸 배터리에 세계 최초로 실리콘 5% 음극재를 공급했다. 폭스바겐 그룹은 이후 동일 플랫폼을 사용하는 아우디 e-트론에도 실리콘 음극재 적용 배터리를 채택했다.
 현재 북미 전기차 제조사의 핵심 배터리 협력사와도 내년 공급을 전제로 제품 규격 논의와 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


23.10.26 대주전자재료, 400억 규모 교환사채 발행 결정

09.21 임무현회장 제주대 발전기금 2억원 

09.01 전자산업 원재료 국산화 주도, 실리콘 음극재 기술개발
음극재는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에 들어가는 재료다
 리튬이온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
2023년 현재 대주전자재료는 국내 유일의 산화규소 음극재 양산 기업이다.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이트론 GT 등 유럽의 대표적인 고급 전가차에도 대주전자재료의 실리콘 음극재

08.29 대주전자재료, 131억 투자…실리콘음극재 생산시설 확대
자기자본대비 10.85% 규모다
 약 2~3년 후에는 실리콘음극재가 매출 비중의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
대주전자재료는 올해 4차례에 걸쳐 신규시설투자를 공시
지난 1월 568억원 투자 계획 발표 후
6월 초 전북 새만금 산단에 총18만7371제곱미터(약 5만6679평) 규모 부지 투자를 확정했다.
이어 7월에는 공장 가동에 필요한 전력망 확보(231억원),
이달 29일에는 공장 가동에 필요한 설비구매(131억원) 계획을 공시
실리콘음극재의 부작용을 해결하려면 실리콘 크기를 5nm 이하로 줄여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
현시점에서 논문이 제시한 수준의 전기차 배터리용 실리콘 입자 크기를 구현한 곳은 SiOx 계열의 대주전자재료(약 6nm)가 유일
많은 기업이 SiOx보다 기술 장벽이 낮은 SiC 기반 음극재 개발에 집중
팽창 문제 제어 측면에서 난항. SiC의 평균 입자크기는 50나노미터 이상으로 SiOx 대비 10배 이상 큰 탓
업계에 따르면 2024년에는 공급 차종이 7종으로 증가할 전망
 “2024년 실리콘음극재 예상 매출은 약 1200억원 정도
향후 3~4년은 매년 10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된다
부채비율은 상반기 212.2%로 전년 말 171.7% 대비 크게 증가
시흥 배터리캠퍼스 증설을 통해 현재 3000톤에 ->  2024년 1만톤 -> 2025년에는 2만톤까지 순차적
새만금캠퍼스 8만톤-> 향후 10만
2025년까지 전체 음극활물질 수요가 약 136만톤으로 연평균 39% 증가할 것
전체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 음극재의 시장 점유율이 5%에 불과하지만, 이 비중이 2030년에는 25% 이상 확대될 것

2023-06-05 
 실리콘을 쓰지 않는 이유는 리튬이온을 수용하는 실리콘의 능력이 너무 뛰어나기 때문
 충전할 때마다 부피가 커져 화재
충전과 방전을 할 때마다 실리콘 결정이 바스라지면서 제품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
 실리콘 음극재에 탄소나노튜브를 섞어 안정화하는 방법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의 실리콘 비율을 보면 2018년 1세대는 2%,  2022년에는 5%, 2023년에는 8~10%가 가능해질 것
테슬라 배터리에 실리콘(산화규소) 음극재를 채용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2026년까지 9조 원 규모로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