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홈페이지]
●발포제
UNICELL은 동진쎄미켐의 화학발포제 및 발포촉진제의 고유 상표명
국내는 물론 세계시장에서 그 품질을 인정받아 세계시장의 3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또는 고무에 첨가되어 주어진 온도, 압력 및 시간에 열적 분해 또는 팽창하여 미세 발포 구조체를 형성
 건축 내장재, 자동차 내장재, 신발, 벽지, 바닥재, 포장재 및 구명복 등의 제품에 폭넓게 사용
●디스플레이
LCD 공정용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스트리퍼(Stripper), 에천트(Etchant), 신너(Thinner) 등을 차례로 개발 · 국산화에 성공

●반도체
 Photoresist를 국내 최초, 세계에서는 4번째로 개발에 성공
포토레지스트 (Photoresist) : 
신너 (Thinner) : Photoresist Spin Coating 후 실리콘 웨이퍼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Photoresist를 제거하기 위해 EBR (Edge Bead Removal) 공정에 사용
CMP 슬러리: Wafer 표면에 Slurry를 공급해 화학적으로 반응시키면서 기계적으로 Wafer 표면을 평탄화
반사방지막 : 노광된 빛의 하부 반사 및 산란의 제어를 통해 공정상의 문제점인 Standing Wave, Notching 등을 억제하여 미세회로를 구현

하드마스크 (Spin-on-carbon (SOC) Hardmask): Photoresist만으로 Mask 역할의 수행이 어려워, Etch Masking 재료로서 도입된 물질로 차세대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재료
프리커서 : 초고품질의 박막 증착용 공정인 CVD/ALD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금속 박막, 금속 및 실리콘의 산화막, 질화막 등을 월등한 step coverage로 증착 가능한 물질
●신재생에너지
연료전지 MEA : MEA는 수소,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으로, 고출력, 장기 수명을 갖춘 건물용, 수송용 MEA를 공급
이차전지 : 폴리머 배터리와 전동공구, 전기자동차 및 ESS용 중대형 배터리 제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사업보고서]
반도체 및 TFT-LCD 의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Photoresist 관련 전자재료사업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사업

(전자재료사업)
 당사는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용 감광액과 박리액, 세척액, 식각액 및 태양전지용 전극Paste 등 전자재료를 반도체칩 및 TFT-LCD, 태양전지 등의  제조업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 및 반도체 소자산업과 직접적인 연관성
반도체 소재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2개 회사
디스플레이소재의 주요 매출처는 엘지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등 몇 개의 회사로 한정

(발포제사업)
신발밑창 및 장판지 등 건설자재, 자동차 내장제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를 국내외 화학회사에 주로 납품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인 PT.Dongjin Indonesia에서 생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0여 년의 연구로 스웨덴, 일본에 이어 세계 네 번째 상용화된 Microsphere의 판매신장이 두드러져 향후 매출성장을 견인
국내시장은 당사와 소수업체가 과점체제로 공급하고 있으며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FHIC  (0) 2021.12.09
엠케이전자BM  (0) 2021.11.05
지니틱스PQC  (0) 2021.10.22
쿠콘PQC  (0) 2021.10.21
쿠콘BM(블로그 애널리포트)  (0) 2021.10.20
728x90
반응형

갤럭시워치 사용하는사람이 주변에 증가하는것을 보고 찾음.
과연!!

19년도 상장해서 정보가 빈약. 일단 -로 시작

21.2Q 분기매출 96억/10억/8억
21.2Q 실적이 매우좋음. 일회성으로 좋은건지 확인필요
매출,매출원가,매출총이익 약 30%증가. 판관비는 -15%감소
판관비가 왜 감소했지?->경상연구개발비가 2억정도 크게 감소
전체적으로 재무제표가 좋아짐. 3분기도 긍정적인 재무제표인지 확인필요

터치보고 들어왔는데...
터치IC가 70억 정도 매출. 아직 매출 추세가 판단이 안됨
No터치IC가 25억 정도 매출. 매출은 증가하는듯

원자재(설게후 웨이퍼)양이 감소
-> 조금 매입하면 많이 안팔린다는건데

제품매출(아마도터치)는 감소,
상품매출(아마도 No터치)는 증가,
판매비중은 스마트폰향 30~40, 웨어러블 60~70
글로벌 점유율 60~70%
중화권 매출비중 60% 삼성전자 40%, +구글 FitBit
지니틱스는 이런 터치IC를 만듭니다. 현재 삼성 스마트폰의 절반은 지니틱스의 터치IC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19년기사)
지니틱스는 중국 웨어러블용 터치IC 시장에서 시장점유율 70% 이상을 확보(19년기사)
->이것도 딱보니 화웨이 날라가면서 20년도 망했구만
Fitbit 

구글트렌드....미비

갤럭시워치

구글트렌드 조금 UP

내생각보다 잘나가는건 아니군...
제품(터치)보고 왔기때문에 또다시 마이너스(-)

<갤럭시워치관련 기사들>

26일 삼성전자 등에 따르면 갤럭시워치4 시리즈 국내 판매량이 40만대를 넘어섰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예상보다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세계적으로 출시 
전 생산 예측보다 주문이 넘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미 제무제표는 엉망임. 
그래도 조금이나마 예측해본다면.

P는 알수없음.
Q는 증가 
현재 월 600만개를 공급 (19년도 기사)
중국으로 수출되는 지니틱스의 웨어러블 터치IC 물량은 올 1분기 600만개, 2분기에는 1000만개 (19년도 기사)
올해 전 세계 공급되는 웨어러블기기용 터치IC가 7500만대로 예상되는데요. 올해 지니틱스가 공급하는 터치IC 물량만 5000만대로 회사는 올해 전 세계 웨어러블 터치IC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 (19년도 기사)

2020.9~2021.9 용인시 수출금액은 감소한데..
2019~ touch ic 수출금액

이거봐서는 19년 대비 20년 실적안나온건 확인이안됨
웨어러블이 막 10%~20% 성장하지는 않을듯. IDC통계로는 20년 50%, 21년 5% 성장하고 계속 2~3%성장. 

엄청 기술적 혜자가 있는건 아닌듯.

아몰랑. 19년이 최대 실적 why?
21.2Q 분기매출 96억/10억/8억
현재추세로 보면 21년도 400억/40억/32억 가능
핵심이였던 19년도는 550억/54억/43억(4억이지만 당순계산 할때 뭐 있었나보지)
수출추이따라서 봐서 19년도 보다 50%성장한다치면
맥시멈 715억/70억/56억

우선 보수적인 계산 21년 32억(PER20)으로 주가계산시 1790원
맥시멈 계산 3130원

사지마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케이전자BM  (0) 2021.11.05
동진쎄미켐BM  (0) 2021.11.04
쿠콘PQC  (0) 2021.10.21
쿠콘BM(블로그 애널리포트)  (0) 2021.10.20
리노공업 PQC  (0) 2021.10.12
728x90
반응형

<네이버제뮤제표>
           17     18      19       20년도   21년도 예상   22      23
매출액 146억  258억  412억  513억      630억         771억   910억
영익     22억   25억   62억    112억     160억          217억   273억
당기순                                           147억         184억   228억
영익률  15%    9%      15%    22%        25%    

<데이터사업부>
   *분기별 15%증가 / 22년부턴 전분기대비 20%성장
    (억)     20.1q 20.2q 20.3q 20.4q 21.1q 21.2q  21.3q 21.4q  
   매출액    33     36      41     48     57    72     82      95
  영업이익  13     14      16     19     23     29     33     38

<페이먼트> 
   *분기별 8%증가 / 22년부턴 전분기대비 8%성장
    (억)     20.1q 20.2q 20.3q 20.4q 21.1q 21.2q 21.3q 21.4q  
   매출액    73     78      85     101   81    87    94     100
  영업이익  13     14      15     18     14    15    17      18

<yy 예상>
                        21년      22년    23년  
매출액               629억    763억   869억    
영업이익(25%)     157억    210억   217억
당기순이익(90%)  141억    189억   195억

계속 꾸준히 고성장
BM은 좋음
매출액이 30% 증가하면 영업이익은 40%증가하는 마법
앞으로 매출액이 증가하는 만큼 영업이익은 더 가파르게 증가할것
다나와처럼 클릭으로 먹고사는 BM은 한계가 있을듯. 
API가 꾸준히는 팔리지만 어느순간 천천히 팔릴꺼고, 클릭수도 유지정도만 할꺼 같은데
데이터업종이 연평균 11~14%증가

하...모르겠다.
<fowardPER>
                                  21년도          22년도        23년도
데이터영업이익률 40  -> 69000원  ->   93600원 ->   96600원
영업이익률 27          -> 47000원  ->    63000원 ->   65000원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알수가 없네
BM만 보면 좋은데...데이터라는게 정체가 생길수도 있고
상장된지 얼마 안되서 예측이 힘들고..

PER을 얼마 줘야하는거야..ㅜㅜ
simrim도 못쓰겠음
이런건 사는거 아니랬는데...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진쎄미켐BM  (0) 2021.11.04
지니틱스PQC  (0) 2021.10.22
쿠콘BM(블로그 애널리포트)  (0) 2021.10.20
리노공업 PQC  (0) 2021.10.12
일신방직 PQC  (0) 2021.10.08
728x90
반응형

<보호예수물량 출회일>
쿠콘 상장일 21년 4월 28일
1개월 17만주 15.2% 21년 5월 28일
3개월 15만주 13.8% 21년 7월 28일
6개월 30만주 25.9% 21년 10월 28일

<포카라 블로그>
21.04.17 
공모시 유사업체 : NHN한국사이버결제, NICE평가정보, 세틀뱅크, KG모빌리언스, 이크레더블, SCI평가정보, 다날, KG이니시스

21.08.24
빅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하고 이를 팔아먹는 기업이 좋아진다. 앞서 쓴 대로 인크로스는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장사하는 기업이다. 그런데 쿠콘은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업체(=마이 데이터사업자)를 상대로 빅데이터를 팔아먹는다. 다시 말하자면 빅데이터를 팔아먹는 회사가 있고,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영업하는 마이 데이터 사업자가 있다. 따라서 쿠콘은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이 많아질수록 좋다. 증권사, 은행, 카드사들이 쿠콘 빅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모든 데이터를 수집해서 API 형태로 서비스해 준다. 마이데이터 사업을 못하는 업체들도 쿠콘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사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금융이나 이커머스, 보험, 카드, 중고차 거래, 진료 정보, 수출입 통계 등등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업들 입장에서 보자. 쿠콘의 API가 필수적인 시대가 올 것이다. 빅데이터가 4차 산업시대에 쌀이기 때문이다. 쿠콘은 API 숫자를 계속 늘리는 중이다. 이 시장도 선점이 중요하다. 쿠콘을 능가할 기업은 국내에 없다. 항상 각 분야 1등 기업을 주목해야 하고 투자해야 한다. 일등만 살아남는다. 쿠콘은 일등 입지를 확실하게 굳혔다. 조금씩 조금씩 사서 모아가야 할 주식이다.
데이터 수집과 연결 부문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지닌 만큼 국내에서 데이터 API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쿠콘의 API 상품은 최초 일회성으로 청구되는 도입비와 매월 기본 이용료가 있다. 그리고 계약 방식에 따라 ①고객사 회원들의 조회 건당 수수료 ②사업자당 수수료 ③월 정액 이용료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규 API 수는 2018년 14개 → 2019년 26개 → 2020년 36개 → 2021년 60개로 핀테크 시대가 가속화되며 매년 새롭게 출시하는 API 개수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수수료 기 반 서비스는 이용건수 증가에도 별도 추가 비용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영업이익률이 가능하다.

210903

데이터 수집을 위해 1) 스마트 스크래핑 2) 금융VAN 3) 빅데이터 4) API HUB 연결 기술을 활용한다. 데이터 수집, 연결 부문에선 28건의 특허와 44건의 상표권, 164건의 S/W저작권으로 높은 기술 장벽을 구축하고 있다.
고객사가 자료를 요청 할 수 있게 데이터 목록을 정리하고, 자료 요청을 받으면 중간에서 API를 통해 데이터 연결기관과의 상호작용으로 고객사가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210927
쿠콘은 빅데이터 사업을 한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에게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정보를 팔 수 있기에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쿠콘은 국내에 사실상 경쟁자가 없다. 특히 데이터사업 이익률이 40% 이상으로 높다. 이 사업의 매출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여서 이익률도 상승 중이다.

<애널리포트>
NH (21.04.13)
핀테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플 랫폼 및 비즈니스 데이터 제공 서비스 기업
신규 API 출시 및 고객당 API 이용 수 증가로 매 출 성장 가속화
데이터 서비스 부문은 변동비가 없어 높은 영업 레버리지 효과 창출 가능

첫째로, 데이터와 페이먼트 서 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One-stop 솔루션을 보유해 이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기 업들과 차별화된다
국내 최다 금융 기관(은행 22개, 증권사 20개, 카드사 15 개)과 실시간 전용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신규 진입 Palyer들에게는 전용망 연결 자체가 진입 장벽으로 작용
15년간 데이터 수집 및 연결에 집중하여 스마트 스크래핑, 금융 VAN(국내 최다), 빅데이터(빅데이터 약 3,000만건 보유), API HUB(금융 오픈 API 국내 최초 구축) 등 독보적인 데이터 연결 기술을 보유

금융 분야 위주에서 빅데이터, 의료, 유통 등으로 추가해 API 상품을 확대할 계획

유진 (21.04.28)
립. 2007 년 전 증권사 계좌 정보중계망 구축을 시작으로 2019 년 전 은행, 2010 년 카드사 및 VAN 사 전용선 정보중계망 구축을 완료함
국내외 금융,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매일 수집하여 연 결 및 조직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투자포인트 1) 수수료 기반의 안정적인 수익구조로 지속적인 성장 전망
① 국내외 은행, 증권, 카드 사용내역, 대출금, 부동산 시세, 차량 시세 등의 정보를 API 서비스로 구현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② 또한, 간편결제, 전자금융 API 를 제공하는 페이먼트 서비스를 제공함.
국내 금융, 공공 등 500 여 기관의 데이터를 매입 수집함은 물론 글로벌 40 여 국가 2,000 여 금융기관 데이터를 수집하는 국내 유일 기업임

투자포인트 2) 신규 상품 출시 및 글로벌 진출 전략도 긍정적임
① 기존 금융, 공공 중심에서 빅데이터, 의료, 유통 등 데이터 API 상품을 확대하고 있음
② 또한 2021 년 1 월 마이데이터 허가를 획득하여 마이데이터 상품 4종으로 시장 선점을 추진하고 있음.

신한(21.06.29)
2021년 실적은 매출액 633억원(+23.2% y-y) 영업이익 160억원(+42.6% y-y)으 로 전망
매출 증가는 연간 8.8%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한 페이먼트 사업
핀테크 사업의 본격화로 올해 56.6%의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데이터 사업
2021년 동사의 영업이익률은 전년 대비 3.4%p 상승한 25.3%를 기록할 전망
2021년 예상 실적 기준 동사의 PSR은 7.6배, PER은 38.1배이다
동사의 리스크는 API 시장 성장에 따른 경쟁 심화이다.
현재 ‘스크래핑’ 방식으로 데이터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곳으로는 핑거, 코드에프, 기웅정보통신
향 후 핀테크 회사의 서비스 내재화 우려도 존재
하지만 동사는 이미 200여종의 API를 구축, 국내 최다 금융기관과 실시간 전용망으로 연결 가능해 타 업체 대비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핀테크 업체의 서비스 내재화는 타 업체에 는 공급할 수 없다는 점으로 볼 때 사업성 측면에서 경제성이 낮다고 판단되며 이 로 인해 독점적 지위 유지가 가능할 전망





신한 (21.08.23)
고객사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1,600개 이상(금융 기관 150여개, 핀테크 200여개, 공공/일반 1,300여개)기업이다.
데이터 사용량과 비례하는 수수료 중심 매출 구조
2021년 매출액 633억원(+23.3% YoY), 영업이익 171억원(+52.0% YoY)
1) 국내 독보적인 데 이터 수집 능력으로 데이터 API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 부문에선 마땅한 경쟁자가 없고
2) 높은 영업레버리지를 지닌 비즈니스로 매년 빠른 영업이익률 개선세를 보인다는 점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니틱스PQC  (0) 2021.10.22
쿠콘PQC  (0) 2021.10.21
리노공업 PQC  (0) 2021.10.12
일신방직 PQC  (0) 2021.10.08
한국쉘석유  (0) 2021.10.01
728x90
반응형

딱히 안봐도 아주아주 잘하는기업. 그래도 조금만 뜯어보자

리노핀과 IC소켓이 주력인데 IC소켓이 더 매출비중이 높아짐
리노핀(30%) IC소켓(60) 의료기기(10%)

이런....
4만 ~ 77만까지 다양


Q를 이용해서 추정해보자
리노핀 : 개당 700~800원 나오는데..(물론 판관비 매출원가 무시한 단순계산)
소켓 : 40만원 정도 받는듯

원재료 증가 -> 생산실적 증가 -> 매출액 증가.
원재료를 바로 바로 쓰는지 다음분기에 원재료를 얼마나 사는지는 추정이 안됨. 

닝겐자이라 말대로 앞으로의 추정이 안됨...
그냥 영업이익률이 40%까지 나오는 괴물이 되었을뿐

다품종 소량생산
P : 가격을 전가하는지. 판매 제품의 가격을 계속 올리는지 알수가없음
Q : 주문받으면 제작하므로 Q의 양도 알수가 없음. 리노핀의 글로벌시장점유율이 70% 라는데 리노핀은 매출은 점차 감소중. 소켓은 국내 ISC랑 1위다툼중
C : 영업이익률 40%, 매출액 10% 정도 자산투자

과거토대로 리노공업이 성장을 한다면 21.3Q 4Q실적은?
1Q 매출/영익/당순 : 680억 / 279억 / 245억
2Q 매출/영익/당순 : 790억 / 344억 / 300억

그냥 앞으로도 계속 300억 찍어준다면
언젠간 당기순이익 1145~1200억 나와주겟지

네이버제무재표를 표면 21년 컨센 922억
PER16(역사상 젤 낮았을때) : 주가 96000원 
PER20(저평가구간) : 주가 120979원
PER25(현재벨류) : 주가 151200원

당기순이익이 1200억이라면
PER16(역사상 젤 낮았을때) : 주가 126000원
PER20(저평가구간) : 주가 157000원
PER25(현재벨류) : 주가 196000원

매출 추정이 어려워서 SimRim에 의존해야할듯
주가 낮아졌을때 사고 꾸준히 성장하는지만 체크해도 OK
728x90
반응형

'기업SCA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니틱스PQC  (0) 2021.10.22
쿠콘PQC  (0) 2021.10.21
쿠콘BM(블로그 애널리포트)  (0) 2021.10.20
일신방직 PQC  (0) 2021.10.08
한국쉘석유  (0) 2021.10.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