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건설기계 부품 공급업체 현황

*굴삭기 *휠로더 *지게차

※유압실린더 - 디와이(동양기전) & 디와이파워
- 디와이 : 크레인, 세차기, 골프카, 지주회사
-디와이파워 : 유압실린더

주요제품가격 (디와이파워)
생산실적 : 898억 (가동률 112.5%)

브레이커,드릴 - 현대에버다임

주요제품가격
생산실적 :  CPT : 콘크리트펌프트럭, TC : 타워크레인, FE : 소방차, ATT : 어태치먼트,   RD : 천공기

브레이커,드릴 - 수산중공업

주요제품가격
가동률: 어태치 83.3%, 특수장비 86.6%

※Roller - 진성티이씨

가동률 85.1%

※Roller - 흥국

※Roller - 대창단조

가동률 71.8%

※크롤러크레인용(무거운거 들어올리는 지렛대 안에 동그란거) - 동일금속

◎ 건설기계 특성

1) 자본집약적 : 품목이 다양,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 대규모 시설투자
2) 규모의 경제 : 3만여개 부품. 각 기종별 일괄생산 불가, 대량생산체제를 위한 규모의 경제
3) 고가/고중량 : 대당 가격이 비싸고, 해외수출시 운송비가 가격경쟁력에서 중요한 요인
4) 렌탈화 : 수요의 패턴이 보유에서 임대형태로 변화

각 회사별 특징

1. 두산밥켓 : 선진국, 소형건설, 미국주택, 농업 조경용. 광범위한글로벌네트워크
2. 현대건설기계  : 중국,인도,신흥국, 중대형
3. 현대두산인프라코어 : 중국,신흥국, 중형, 엔진생산판매
4. 진성티이씨 : 중장비 하부 주행, 캐터필라 61%, 히타치 16%, 두산 14%
5. 흥국 : 하부 구동 부품, 볼보그룹, 현대건설기계
6. 다와이파워 : 유압실린더 -굴삭기/지게차
7. 현대에버다임 : 유압브레이커, 부품, 차량,중장비,소방차
8. 수산중공업 : 유압브레이커, 크레인, 국내1위, 해외5위
9. 혜인 : 건설기계, 육상용발전기, 선방 엔진 수입판매전문. 캐터필러 한국 딜러
10. 동일금속 : 크롤러크레인용 시장점유율 45.9%,미국일본 수출, 굴삭기용은 볼보,현대건설,두산인프라코어에 공급
11. 서연탑메탈 : 자동차용금형사업, 건설용중장비부품(CABIN-조종석)은 볼보 두산납품
12. 테라사이언스 : 유압용 관이음쇠 (아주 작은 연결부품)

눈에 띄는건 두산밥캣, 흥국, 동일금속, 대창단조, 진성티이씨

 

728x90
반응형

'산업스터디 > 건설건설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기계 오늘의 생각(22.07.04)  (0) 2022.07.04
기업별 주가추이 (22.07.04)  (0) 2022.07.04
[GUN] 건설기계 핵심 Point  (0) 2022.06.21
건설기계 뉴스  (0) 2022.06.11
현대건설기계 Q&A  (0) 2022.06.11
728x90
반응형

1. 글로벌 대장은 Caterpillar

-세계 시장 점유율 1위(13%)
-건설 장비(42%), 에너지/운송 장비(37%), 자원개발 장비(18%) 순으로 매출
-북미(43%), EAME(24%), APAC(23%), 라틴아메리카(10%)로 세계 전역에 걸쳐 고루 분포
-실적은 실물경기를 가장 정 확하게 반영하는 미국 산업생산지수와 정확히 연동
-미국중국 관세 분쟁


2. 건설기계의 Good

-중국 정부 부동산 개발시
-중국>미국>인도>유럽>신흥국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내수 활성화 및 인프라투자 증가)
-경기침체시 case1. 정부 인프라투자로 경제위기 극복
-주택경기호조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광산채굴수요
-렌탈장비 교체 수요 (2010~2011년 대규모 생산 : 완제품 수명 5~7년, 부품 수명 2~3년)
-재고부족
-환경규제 강화 (TIER4엔진 배기규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는 기존발전소 대비 토질공사 수요 증가

3. 건설기계의 Bad

-경기침체시  case2. 민간쪽은 투자 감소 (case1보다 확률up)
-중국 로컬업체빠른 추격
-재고과잉
-미국중국 관세 분쟁
-금리인상 -> 고정자산투자 증가폭 감소->건설착공량 감소->굴삭기판매량 감소
-운송비가 가격경쟁력 주요요인

4. 건설기계의 예정된 IF  긍정시나리오

-중국서부대개발 -> 일대일로 -> 하지만 중국고립으로 불투명
-미국 도시재건 투자

5. 한국 건설기계 경쟁력

-중소형 굴삭기

6. 건설기계 역사
2007년 글로벌 부동산 경기 peak
2008년 글로벌경제위기때 경기부양을 위해 중국 4조RMB(720조)방출
2009년 금융위기 때까지 마이너스 성장

2009.11.23 중국 굴삭기시장 10월 판매 8,757대 
2010~2011년 중국 굴삭기 시장이 18만대 육박
2011년 중국긴축정책 & 유럽발 금융위기
2012년 중국 대규모 인프라투자 승인 1조RMB(180조)
2016년 트럼프 인프라투자
2017년 12월 중국시장 굴삭기 판매량 총 12,733대 (두인: 1063대, 현건: 280대)
2017년 중국 굴삭기 판매량 총 130,602대(두인:10,878대, 현건:4,013대)
2018년 중국 굴삭기 판매량 총 160,000대

 

728x90
반응형

'산업스터디 > 건설건설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별 주가추이 (22.07.04)  (0) 2022.07.04
[Gun]건설기계 value chain (22.1Q 기준)  (0) 2022.06.21
건설기계 뉴스  (0) 2022.06.11
현대건설기계 Q&A  (0) 2022.06.11
현대건설기계 10년치 리포트  (0) 2022.06.07

728x90
반응형

22.05.2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3/0000031520?sid=104 

 전 세계적으로 56기(61.7GW)의 원전이 건설 중이다. 건설을 계획 중인 원전이 95기(95.3GW)에 이르고, 건설을 검토 중인 원전도 335기(369GW)나 된다.

중동·동유럽·동남아시아는 물론 남미와 아프리카의 국가들도 원전 건설에 적극적인 관심

2027년까지 완공 예정인 50기의 원전 중 절반 이상인 27기를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잃어가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가 차지해버렸다. 원전 시장의 후발 주자인 중국이 15기를 수주했다. 국제법을 무시한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를 퍼펙트스톰의 불안에 떨게 만든 러시아도 12기나 차지했다.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원전 최강국'을 지향하는 우리나라는 여전히 헛물만 켜고 있다.

2009 UAE에 한국형 원전 4기를 수출한 것이 우리에게는 처음이자 마지막 원전 수출이었다

2018년 영국의 무어사이드 원전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어버린 것은 뼈아픈 경험

사우디아라비아와 체코가 한·미 원전동맹의 시험대

미국 아이다호주에 12기의 SMR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뉴스케일파워의 사업에는 이미 두산중공업을 비롯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

22.06.17 이창양 산업부 장관 유럽으로 '원전 세일즈' 떠난다…48조 규모 체코·폴란드 원전시장 공략

탈원전 백지화와 원전 10기 수출 등을 선언했던 윤석열 정부

두코바니 원전(1200MW규모) 수주 등 8조원대 원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체코를 방문한 뒤 폴란드

22.06.09 '서명 취소' 한미 원전동맹 초반 신경전…'오월동주' 가능할까

이래저래 살얼음판 동행중인듯. 
다만 방한 기간 예정됐던 한전과 웨스팅하우스 간 공동선언문 서명 행사가 돌연 취소되면서, 해외원전 시장에서 경쟁했던 양측이 한미 원전동맹 주도권을 두고 시작부터 신경전

취소 배경과 관련해 미국이 장기 운영권 등 핵심사업은 가져가고 한국은 단순 시공·납품 등 기술력만 제공하는 식으로 협력이 제안된 것 아니냐는 관측

728x90
반응형

'산업스터디 >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고서]그린솔루션 Part2_22.07.06_sk증권  (0) 2022.07.06
신재생 vs 전통발전 토론  (0) 2022.06.22
일진파워BM & PQC  (0) 2022.02.09
신재생에너지  (0) 2022.02.08
에너지리포트  (0) 2022.0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