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전기(혹은 전년도) 보고서를 compare툴을 이용해서 차이점확인

14억, 48억
에프엑스티
23.2H 되면 뭐 나오는건가
고객납품예정에서 이제 고객사 시험 운영중..진행은 되고 있는듯

2. 기업엑셀에 실적 입력 (차트뽑아서 특이점확인)
     시총 3350억/매출액545억/영익 -8800만원/당순 -20억 망했어요...ㅜㅜ

  • 영익폭망으로 지하실로 들어가심.  그래도 21년까진 잘 나왔는데..

  • 미친듯한 판관비. 매출원가도 원자재 상승으로 오른거겟지

  • 부채도 늘어나는게 영

  • 영업현금흐름 어쩔....

  • CAPEX가 넘 많지..

  • 재조자산 미친듯이 증가

  • 유형자산 170억있을때 분기별 400억 별던놈이..유횽자산 400억이 됬는데 분기별 500억 간신히 범..

3.기업제무제표 엑셀비교하며 상세비교 (계산기엑셀활용)

시총 3350억 매출액 545억 영익 -8800만원 당순 -20억
  22.3Q 증감액 증감비율
매출채권 323억 +90억  11.5%
재고자산 531억 +62억 13.2%
투자부동산(비용) 173억 +50억 40.1%
유형자산 1891억 +62억 3.4%
매입채무 237억 +23억 10.6%
계약부채* 28억 +11억 62.8%
단기차입금 414억 +32억 8.4%
전환상환우선주부채** 175억 +175억 이솔 투자 받음

*계약부채 : 계약부채는 계약 상대방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도 전에 고객으로부터 먼저 받은 대가를 말하는데 선수금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는 하나 그냥 선수금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전환상환우선주 부채 : 투자자에게 자금 유치 받는 대가로 주식을 발행. 전환권도 주고 상환권도 주면 전환상황우선주
                                       전환권은 우선주가 보통주로 전환되는것 (우선주혜택에서 진정 주인이 됨)
                                       상환권은 투자원금 돌려달라고 요청 (돌려받을때 높은 이자를 받을수 있음, 4년간 복리 8%)

  • 매출액 -8% 감소, 매출원가 -4%감소 -> 매출원가도 -8%는 감소되야지 매출총이익이 또이또이
    판관비 62%증가 ->결국 영익은 개망
    관계기업투자도 적자
  • 1분기랑 비교해도
    매출액은 늘었지만...매출원가는 더 늘었고
    판관비는 또 늘었음.

4.기업엑셀에 사업부별 성과 입력

  • 매출은 나쁘지 않음..그래서 더 아이러니
  • 장비가동률이 좀더 올라왔으면...50%는 넘기자
  • 칠러 원가가 좀 비쌈
  • 미쳐버린 유형자산...
  • 문제 많은 자회사들
  • 원가율이 5%로 증가
  • 미친 판관비..그중에 연구개발비!!
  • 판관비중 수출제비용은...수출이 좋다는건가??? 판매보증비도 증가
  • 개별로도 안좋아요...망했어요

5. 2번,3번,4번 에서 내용을 보고서 주석을 통해서 상세 확인해서 블로그에 작성

6.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PQC 새로 update

7. simrim으로 한번더 확인하고 종료

728x90
반응형

'Gun's 투자종료 Follow > 에프에스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프에스티  (0) 2023.04.26
채용 등으로 보는 에프에스티  (0) 2023.03.26
[FST]22.1분기 내멋대로분석하기  (0) 2022.05.17
P Q C 로 보는 기업분석  (0) 2022.03.25
[에프에스티] 자회사  (0) 2022.03.24
728x90
반응형

◎ 전분기와 보고서 비교

미국 진출
일단 늘어남. 일하고 있는 회사
OLED 가 확장중이라는 소리가 솔솔 들림
이번에 나가라 된게 칠러인데

◎ 재무제표 (440억/12.6억/0.3억. 시총 4242억)

판관비율이 높아유~
현금흐름도 망
그래도 재고자산이 높게 유지된다는것은....좋은 의미

칠러 때문에....

◎ 재무상태표 (21.4분기 비교)

▶유동자산 55억 감소 - 현금성자산 161억 감소!
현금을 어디다가 썻을까?

▶재고자산 108억 증가

제품 판매 이연

▶유형자산 72억

계속 땅을 사는가..

▶다행이 부채는 크게 안늘어남

▶자본이 감소중...

◎  포괄손익계산서 (21.1분기 비교)

▶매출액 73억 감소!! 매출원가 59억 감소!! 
-> 매출액이 감소하니 매출원가가 감소하는건 당연한거...

▶판관비 61억 증가!!!!!!!!!!
-> 매출액이 감소했음에도 고정비인 판관비가 증가
    급여, 복리후생비는 고급 인력 채용때문에 (20년 498, 21년 604, 22.1Q 656명)
    이회사는 열심히 연구개발해야지..
    수출제비용은 수출관련 비용.하지만 수출도 안늘었기때문에 물류비 상승으로인해증가(모든회사가 동일)
    비용의 성격별 봐도 급여랑 감가상각비가 많이 차지.
    감가상각비는 왤케 높은겨!?

감가상각비도 아직은 크게 걱정할껀 아닌듯

▶영익 감소할수밖에..76억 감소!! 당기순이익 말해뭐해..무려 70억 감소(물론 20.1q 오로스상장 영업외는 생략)

화인세레텍 17억원 당기손실. 이솔도 10억원 당기손실

◎  블로그형님들

개인적으로 봤던 실적 개박살요인은 크게 두가지 1. 회사의 매출특성과 2. 자회사 박살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함.

첫번째 매출특성.

이 회사는 상반기에는 장비(칠러)가 캐리하고, 하반기는 소재(펠리클)가 캐리하는 형태를 띔.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다.

이건 나도 봤던것!!

위 한마디면 정리된다. P3 입고가 실적을 캐리해 줄 줄 알았으나, 그러지 못함.

개인적으로 보는 스토리는 그냥 P3 자체가 지연되고 있는데, 쿨런트까지 숏티지나서 특히 칠러사들이 치명타를 입은거라고 추측 됨.

실제로 에프에스티보다 먼저 실적이 나온 칠러 2사(GST, 유니셈) 모두 실적이 안좋았다.

당연히 에프에스티도 실적이 안좋을거라 짐작을 했어야 한다. 실적을 보고 충격받았으면 진짜 안일한 마인드인거다.

그러면 여기서, 누군가는 물을 수 있다.

'에프에스티는 펠리클도 하고 매출이 0원이 되는것도 아닌데 적자라고 하는거는 개쌉소리 아닌가요?' 맞는말이다.

그럼 두번째 이유로 넘어가자. 일단 저 둘은 돈먹는 하마들이 없다.

시간을 조금 돌려서 결산실적 나오는 시간으로 돌아가보자.

 

작년 하반기 실적떡락의 주범은 화인세라텍이다.

세간에 알려진 말에 의하면 올해부터 양산이 나와서 가이던스는 매출 100~150억정도라고 했던 말을 어디선가 들었음.

하지만 작년에 적자만 78억이 났고, 올해 램프업이 안되면 정말 돈먹는 하마가 될 수 있음.

하지만, 내 생각보다 실적이 나와줌. 매출액 10억 / 순손실 17.5억

분기당 전체비용이 30억 전후로 나오는건 여전함. 작년 온기매출 5억 / 22 1Q만 매출 10억.

실제로 국내에 몇 안되는 피어그룹인 샘씨엔에스의 성장이 나왔다. 실적이 오지고 지리고 렛잇고다.

비상장사(미코세라믹스) 하나 더 있다. 하지만 나는 말 못한다. 아무튼 그렇다.

그리고 세라믹 부품 자체의 국산화는 꽤 필연적이다. 나머지는 일본산이니까.

국내에 플레이어도 몇 없다. 더 쓰고 싶지만

뭐 아무튼.. 21-> 22 1Q만큼의 그로쓰가 QoQ로 계속 나온다면 가이던스는 지킬 수 있어보인다.

그래도 온기 적자인건 변함없다. 이정도가 스토리고, 이제는 숫자를 봐보자.

 그냥 탑라인이 개박살났다 70억정도가 덜나왔다.

판관비도 yoy 60% 증가.

재료 : 171억 -> 196억

장비 : 323억 -> 223억

그냥 칠러가 개 박 살 난걸 펠리클의 성장으로 커버쳤다.

근데 여기서 봐야할건 한가지. 매출이 이연된것인가? 그냥 안나온것인가?

재고자산 자체가 100억이 늘었다. 캡처하기 귀찮아서 말로하면 과거 분기당 재고는 3~50억씩 증가하는 트렌드를 보이다가 100억으로 급증함.

이연매출 아닐까? 뇌피셜이다.

'아님말고'

이제 판관비를 보자.

귀찮으니까 크게 는거만 보자. 인력관련비용 +12억 / 전력비 +5억 / 감가상각비 +7억 / 연구개발비 +31억 / 지급수수료 3억 / 수출제비용 7억

일단 지급수수료는 잘 모르겠고, 수출제비용. 

해외매출이 줄었다. 그냥 운반비 오른듯. 다음.

인력관련비용.

훌륭하신분들이 채용공고를 계속 블로깅해주신다. 나는 일일히 찾아서 캡쳐뜨기 귀찮으니까 링크만 올리려 함.

노력맨님의 말씀에 의하면 요즘 모든 인력이 숏티지라 하는데

그럼에도 인건비가 늘어난건 그만큼 고오급 인력을 뽑았다는 뜻으로 보임. 오히려좋아.

사람 많이뽑으니까 연구도 많이하고 전기도 많이쓰고 그래 그래야 빨리 개발하지.

뭐 아무튼 1분기는 회사 특성 상 재미없는 분기인것도 맞음. 별 기대 안했고 사업보고서상도 내용 별로 바뀐 거 없음.

추가로 눈에띈건 세라텍하고 이솔은 계속 돈을 끌어다쓰고, 에프에스티는 땅도사고있다. 어딘지는 나도모름(아시는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또한 인력을 꽤 빠른속도로 충원하고 있고, 회사는 갈 길을 가고있다고 생각함.

분기실적 보고 짤짤이 먹을라고 투자한 회사도 아니니까 별로 걱정 없음.

 
 

 

 

 

 

 

 

728x90
반응형

'Gun's 투자종료 Follow > 에프에스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 등으로 보는 에프에스티  (0) 2023.03.26
에프에스티 22.2q리뷰  (0) 2022.09.05
P Q C 로 보는 기업분석  (0) 2022.03.25
[에프에스티] 자회사  (0) 2022.03.24
FST 21.4Q & 21년도 결산  (0) 2022.03.21
728x90
반응형

ver2. 22.03.25
ver3. 22.09.05

기존 사업(펠리클+칠러)는 평균적으로 매출 15% / 영익 30% 증가 영익은 판관비때문에 개망!!!
하지만 21년 영익이 폭망. 매출은 잘나옴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e)1660억    1900억    2185억    2500억    2875억
                2136억
e)250억      325억     420억      545억     700억
                226억

투자비랑 판관비(연구)&화인세라텍 때문에
화인세라텍 말아먹은 80억..그리고 연구비등등 20억 정도하면 원하는 값은 나옴

시설투자는 EUV에 관한 투자.

          20년       21년        22년      23년                                                           
매출 1660억    2136억    2185억    2500억(기존)+1000억(펠리클)+600억(EUV장비)   
영익  250억       226억     420억      545억(기존)+500억(펠리클)+180억(EUV장비)
---------------------------------------------------------------------------------------------------------------------
감가    75억       103억    140억       150억
영익      -            226억    280억       400억 +500억(펠리클)+180억(EUV장비)
*21년도부터 유형자산 증가한 꼴 보면 한동안 감가상각 지속

22년 목표치 매출액 2185억/ 영업이익 280억 (미달성100%)
23년 목표치 매출액 4100억/영업이익1225억  영익 1080억 -> 이연된 22년 목표치 280억 차감하면 ->영익 800억
판관비가 조금 매우 늘어났으니..기존나의 계산에 10%정도 할증하면 될꺼 같은데...일단 아쉽지만 버릴이유는 없음.

당기순이익 70% : 560억
PER : 잘나갈떄 18
어쨋든 목표주가는 46,330원 !! 

 

EUV한방만 터지면 주가는 무조건 폭팔한다.
기다리면 된다
728x90
반응형

'Gun's 투자종료 Follow > 에프에스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프에스티 22.2q리뷰  (0) 2022.09.05
[FST]22.1분기 내멋대로분석하기  (0) 2022.05.17
[에프에스티] 자회사  (0) 2022.03.24
FST 21.4Q & 21년도 결산  (0) 2022.03.21
21.3Q 이야기  (0) 2021.11.15
728x90
반응형

(1) 에스피텍

에스피텍은 2010년 3월 25일 설립되어 반도체 펠리클용 Frame FPD 펠리클용 Frame 생산과 판매. ArF용 ECC Frame(SO4, PO4 Free) 를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양산에 성공, PID 고평탄 Frame(2.55t)양산 개발 완료, PDC Frame, ECC Parts 등 세계적으로 유일한 독자기술을 확보

현재의 ArF 반도체 공정이 향후 EUV공정이 차세대 핵심기술로 부각됨으로 EUV 펠리클 (초극한 기술)에 사용되는 무결점 EUV 프레임 시장도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 선행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Optical frame 도금 기술을 확장하여 EUV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소재, 부품의 특수 도금 기술을 연구 개발 중

2020년 매출액 132억(그중 에프에스티향 매출이 106억)로 에프에스티의 펠리클 매출 증가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적이 따라가는 구조.

아래 공시를 보면 에스피텍이 202억의 토지를 취득(사업 경쟁력 확보 및 사업다각화 목적)해 향후 공장 증설 등에 사용되지 않을까 추정. 앞으로 지속 성장 가능

 

 

(2) 화인세라텍

화인세라텍(Fine Ceramic Tech)은 2020년 7월 21일 설립되어 반도체 장비에 들어가는 정밀 세라믹부품 반도체에 사용하는 구조 Ceramic Parts 등 다양한 반도체 관련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

화인세라텍이 진입하고자 하는 MLC 부품사업은 고부가가치 사업이고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해야하는 사업. 현재 전세계에서 공급가능한 MLC 제조업체는 일본에 2개 업체, 한국에 FCT 포함 3개 업체만이 제조

반도체 시장의 확장에 따라서 반도체 Test 시장 또한 동반 확장. 전세계 반도체의 메모리 / 비메모리 시장이 매년 확장되고있고 적용되는 많은 모델의 제품들을 Test하기 위해서는 Probe Card 또한 꾸준한 수요량 증가가 요구되는 상황.

Probe Card의 핵심 부품은 PCB, MLC, Pin으로 구성되고 핵심 부품중 가장 난이도가 필요한 MLC 제조 업체는 한정,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상황

현재 일본의 제조 기술을 한국의 업체가 가격과 납기로 시장을 한국으로 돌리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확실한 입지를 만들수 있다고 판단

20년에 설립되어 21년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는중이다.현재 직접적인 경쟁사인 샘씨엔에스가 21년 추정 460억 매출로 시가총액 3,410억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매출의 일정부분만 가져오더라도 시총 500억은 줄수 있지 않을까? 내년에 본격적인 매출이 나오기 시작한다면 충분한 모멘텀이 기대된다.

 

(3) 창성테크

창성테크는 2019년 8월 21일 설립되어 반도체 핵심공정에 들어가는 정밀부품을 제조 및 연구개발. 생산 예정인 SiC Focus Ring은 반도체 제조공정이 복잡해짐으로써, 그 수요가 늘어감. 2021년 CVD-SiC 설비 구축 및 가동 안정화를 통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에 해당 제품을 납품할 예정

NAND 메모리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CVD-SiC 소재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CVD-SiC 소재는 내열성, 내식성, 내산화성, 내열충격성 등이 우수하며 고온반도체, 고온구조재료, 반도체용 부재료 등으로의 응용이 가능. 현재, 해외 의존도가 높은 CVD-SiC 소재를 국내 기술로 생산 및 공급함으로써 강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포커스링 - 웨이퍼를 식각할 때(에칭 공정) 플라즈마 가스가 웨이퍼 표면을 깎게 되는데, 에칭공정에서 웨이퍼 가장자리 가 깨지거나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포커스 링은 웨이퍼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역할(일정 기간이 되면 교체 필요)

Si보다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SiC가 대안으로 부각되었으며 기존 Si의 교체 시기는 약 10일, SiC 교체시 기는 15~20일 이기 때문에 SiC를 적용함으로써 반도체 칩 메이커들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에칭장비 가동중지로 인한 비용도 감소

SiC포커스링은 티씨케이(064760. KQ)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

현재는 창성테크에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22년 첫 매출을 기대.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예정임에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그만큼의 밸류를 받을수 있을것으로 판단.(관련업체인 티씨케이는 시총1.6조, 케이엔제이는 1,248억 수준)

(4) 이솔

2017년 12월 19일 설립되어 반도체 EUV공정에 들어가는 계측, 측정, 검사장비를 연구개발. EUV 마스크 결함 리뷰 장비, EUV 마스크 위상 측정 장비, EUV 펠리클의 투과율/반사율 측정장비 사업을 영위. 향후 EUV 노광에 사용되는 마스크, 펠리클의 사용량 증가 시, ㈜이솔의 장비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

EUV 노광공정은 아직까지 소수의 top 반도체 메이커들만 도입하고 있지만 미세 패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향후 다양한 칩메이커들이 EUV 노광 공정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 EUV 공정이 확산되어 관련 소재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솔의 관련 계측 장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솔은 EUV Microscope 개발을 완료하였고 고객사와 평가중. 이 외에도 시장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EUV 관련 장비 및 고출력의 LPP(Laser Produced Plasma) EUV 광원 개발을 계획

이솔은 EUV 공정에 관련된 각종장비를 개발하는 회사로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의 관련 투자에 핵심 수혜를 입을것으로 판단된다. EUV 공정의 수율 문제가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관련 수율 개선을 위한 장비투자에 돈을 아끼지 않을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23년 예상인 삼성전자의 EUV 공정에 대한 투자가 들어가는 22년이 이솔이 주목받는 첫해가 되지않을까?

 

 

728x90
반응형

'Gun's 투자종료 Follow > 에프에스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ST]22.1분기 내멋대로분석하기  (0) 2022.05.17
P Q C 로 보는 기업분석  (0) 2022.03.25
FST 21.4Q & 21년도 결산  (0) 2022.03.21
21.3Q 이야기  (0) 2021.11.15
P Q C 로 보는 기업분석  (0) 2021.09.08
728x90
반응형

3q & 4q 비교

에프에스티: 22년 01월 미국해외법인 설립

에프엑스티(구 창성테크): CVD-Sic 장비구축완료 

사내이사 장경빈 선임 : 장명식 FST그룹 장남.  FST는 승계준비중 -> 홀딩스 설립가능성. 인적분할가능성

EUV 펠리클 검사장비, EUV Pod 검사장비, EUV 펠리클 마운트장비 : 데모전형에서 납품예정으로~

에스피텍 : 포토마스크에 펠리클막이 부착되는 Frame. 프레임 품질향상. 독보적인 ECC Coatig 기술 업그레이드
PDC Frame, ECC Parts 등 세계적 기술
Particle발생량이 적은 우수한 기술로 향후 CVD 공정장비등으로 확산전개 가능한 기술력을 확보 ->좋은말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Pellicle 분야에서는 반도체 및 FPD pellicle의 기술고도화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Chiller 분야에서의 온,습도 제어 핵심기술은 우리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영역에서 활용가 가능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인 EUV 시대를 대비

전기 대비 장비 부문의 고객사 주문이 늘어나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관계기업 상장으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상승->일회성

유동자산은 수주/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등의 증가로 전기대비 8.3% 증가
유동부채의 경우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등 증가로 전기대비 15.1% 증가 ->팔리는게 있으닌 매입도있겟지

[My엑셀 재무제표 분석]

[21.4q]
분기영업이익이 -12억, 그러니 영업이익율도 떨어짐 Why? ->판관비때문에
매출원가율은 점차 떨어짐 Good!
근데 판관비가 넘 오름.. Why? 


-> 20년도 356억 -> 21년 590억
상세분석
급여 +60억 !!!!!
감가상각비 +18억 (??)
연구개발비 +96억 !!!!!! -> 화인세라텍이 날려먹은거 대충 여기 처넣은듯
지급수수로 +15억
수출제비용 +15억 (수출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
판매보증비 +17억 (제품을 판매한 이후 발생할수있는 장래손실 ex. 특정기간 사후 서비스)
                        (매출이 늘어나면 자동으로 늘어나지만 넘 늘어나면 별로)
*3q랑 비교해도 해당항목에서 많이 증가함

영익은 감소인데 당기순이익은 증가. 무슨짓을 한거야? ->
오로스테크상장으로 기타수익이 큰폭증가해서 당기순이익증가

EPS는 증가하는데 주가는 감소!! Good
투자활동이 여전히 많음
-> 투자활동 -500억, 거기서 유형자산 취득이 -554억
토지가 +250억, 건물이 +70억, 시설장치 +100억, 기계장치가 +150억 정도 증가...

그래두 EPS는 계속 증가하네

[재무상태표]
-자산
현금자산증가(+130억)
재고자산증가(+10억)
기타유동금융자산(-104억)
투자부동산증가(+55억)
*유형자산증가(+170억)

-부채
매입채무증가(+67억)
유동성장기차입금증가(+57억)
(비유동)장기차입금증가(+192억)

[손익계산서]
매출액은증가 +60억
판관비가 +80억??!!!
기타수익 -13억

[21년 연간]

PER가 낮아졌지만..영익도 낮아짐..ㅜㅠ
그래도 매출액은증가..판관비가 계속  증가함..
그래도 EPS 생각하면 주가는 좀 떨어진상태
투자활동이 넘 많아짐 why?

[재무상태표]
관계기업투및공동기업투자증가(+120억)
*유형자산증가(+772억)
단기차입금(+123억)
장기차입금(+209억)

[손익계산서]
판관비(+237억)
기타수익(+135억) - 오로스테크빨

[현금흐름표]
유형자산취득 -554억 씀
차입금 +184억
자본증가 +430억 - 오로스테크빨

[사업의내용-사업부별 뜯어보기]

모든 부분 (반도체/LCD 펠리클, 칠러 등) 매출 증가

제품가격은...내수는 소폭하락. 수출은 가격올림 -> 삼전 하닉 나쁜X

칠러는 가동률 빵빵..
펠리클은 아직 50%-> 하지만 언젠간 EUV펠리클

영업이익 급갑의 이유! 판관비

연결재무제표여서...3q 4q에 화인세라텍이 당기순이익 -23억, -38억 갉아먹음
에프엑스티도 -1억, -2억 갉아먹음
이솔은 3q는 -7억 but 4q 때 +3억!!! 

힘들다..
결론 내보면 에프에스티 자체 사업 매출은 쭉쭉 잘하고있음
미래를 위한 투자, 연구개발비가 많이 들어감(좋은건가..)
그리고 자회사 화인세라텍 적자를 판관비 항목(연구개발로 쳐서) 영업이익을 다 말아먹고있음
자기사업 꾸준하고 미래를 위한 투자과정으로 봐야할듯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