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5.01.15 DB 7만
이루다 합병으로 MNRF(바늘고주파), 레이저 포트폴리오 구축 완료.
 시너지 영업의 첫번째 단계는 EBD 풀라인업 패키징 판매. 이에 2025년 연결 장비, 소모품 합산 매출 3,310억원
2024년 4분기 볼뉴머 미국 키닥터 대상 매출 발생. 2025년부터 매출 본격화될 전망.
2025년 상반기 울트라포머 MPT, 볼뉴머의 CE MDR 인증 획득 및 하반기 출시 목표.
향후 이루다 공정 효율화에 따른 연결 이익 개선 또한 점진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기대'

 

'2025년 매출액 3,513억원(+45.1%YoY), 영업이익 1,723억원(+40.8%YoY, OPM 49.1%) 예상

 

25.01.16 키움 6.5

4Q24 10~12월의 이루다 실적이 온전히 연결재무제 표에 반영
3Q24부터 지속된 해외 ‘볼뉴머’ 장비 판매세가 꾸준
미국: `25년 연간 300대 이상의 ‘볼뉴머(미국 브랜드명 ‘EVERESSE’)’의 판매 고를 목표
유럽: 2Q25 ‘슈링크 유니버스(해외 브랜드명 ‘울트라포머 MPT’)’와 ‘볼뉴머’의 EU MDR 인증 획득을 전망

 

`25년: 매출액 3,486억(YoY +44.8%), 영업이익 1,671억(YoY +38.6%, OPM 47.9%)을 전망

 

25.01.20 삼성 7만

2025년 이후 미국/중국/유럽 등 순차적인 대형 시장 진출 모멘텀 유효함

 

25.02.14 한투 6.7

1) RF 장비 판매 확대, 2) 미국/유럽 출시 본격화, 3) 볼뉴머 소모품 유상 팁 전환, 4) 이루다 신제품 출시 등

 

25.02.14 미래 7.4
한병 1분기 만에 상당한 비용절검->높은 이익률.

2Q25 유럽 볼뉴머 및 슈링크 유니버스
3Q25 미국 시크릿맥스 출시 예정

일본 영업 개시. 

25년 3400~3600억 매출, 영익 48.1% 기록. 

이루다 합병으로 무형자산상각비 증가. 

 

25.02.24 키움 6.7

이루다는 제품군 정리를 통해 역성장하였 고, `25년부터 YoY +10% 이상의 성장을 예상
유럽 지역 확장, 미국 ‘Everesse’ 매출 본격화, 국내 ‘시크릿 맥스’ 출시 등 여러 실적 성장 모멘텀
HIFU 장비 : 24년 국내 500대(23년과 비슷) ,  브라질 울트라포머 3(슈링크)의 장비 판매가 부진 but 트라포머 MPT(슈링크 유니버스)가 고성장세, `24년 연간 해외 2,000대 이상의 장비 판매

볼뉴머 : 24년 국내 350대. 브라질, 태국, 호주 등 8개국에서의 장비 판매 세가 급증하며 `24년 연간 800대를 판매
`25년에도 YoY +100% 이상의 가파른 판매 대수 성장을 전망

소모품: 장비 증가 따라 증가.

 

25.02.27 유진 7.2

역대 4개 분기 연속 최대 매출 갱신에 성공함.
    신제품 볼뉴머의 글로벌 인지도 확산, 판매호조 

    대표 제품인 슈링크 유니버스(Ultraformer MPT) 지속 성장

   제품 판매에 따른 소모품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55.3% 증가

 

25.02.24 다올 7.2
 2025.04월 유럽 출시 예정 및 중동 또한 순차 출시 예정

 2nd 국가였던 태국과 일본의 2025E 매출액 성장률은 각각 YoY +45%, +50% 전망

국내 리프팅 장비 MS 1위 업체로 미용 의료 관광객 증가에 따른 최고 수혜 

북미 진출 및 유럽 출시에 따른 매출 확대로 업종 내 최고 실적 증가세 기대

 

 

25.02.27 상상인 7.2
1분기 장비 수출과 소모품 매출이 늘어, 특히 수출 yoy 44%
신제품인 단극성 고주파(RF) 제품 ‘볼뉴머 수출 증가
올해 하반기에는 유럽 진출

 

25.03.24 대신 7.4

미국/유럽 선진시장 진출 가속화

이루다 합병으로 EBD 제품 라인업 완성

고성장(신규 시장) + 고수익(소모품) 비즈니스 모델

볼뉴머 글로벌 판매 추이. 4Q24 FDA 승인받은 볼뉴머 (Everesse)의 판매 실적이 핵심(파트너사 Cartessa)

유럽 CE-MDR 인증(볼뉴머, MPT)

주요 리스크 요인: 1) 최대주주 매각 노이즈 2) 인허가 지연 3) 특허 분쟁

 

전 세계 70여 개국에 에너지 기반 미용 의료기기를 공급

HIFU 기반 ‘슈링크’ 시리즈, 피부 리프팅 효과 신제품 유니버스 섬세하고 빠른 시술 제공

6.78MHz RF 의료기기 ‘볼뉴머’, 콜라겐 수축·재생을 촉 진

소모품 매출 비중이 2017년 26%에서 2024년 약 45%까지 증가하는 동안 OPM은 31%에서 50%로 증가

다만 M&A 비용, 이루다 ITC 소송 합의금, 무형자산(영업권) 상각비 등으로 연간 100억원 이상의 추가 비 용이 예상되어 OPM에는 단기적으로 압박

양사 생산·R&D·마케 팅 조직을 통합함으로써 연간 50~80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 효과가

 

2024년에만 약 800대의 볼뉴머가 해외로 판매
미국을 포함한 신규 시장이 본 격화하면 2025년에는 판매량이 1,500대 수준
2025년 상반기 에 계획된 유럽 CE-MDR 인증이 완료되면 하반기부터 영국·독일 등 볼뉴 머와 울트라포머 MPT를 동시 출시
중국 시장은 임상 시험 단계에 있어 장기적 접근

2021년 당시 약 9천 대에서 현재 1.8만 대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소모품 교체 수요가 꾸준히 발생해

 

25.03.26 교보 7만
볼뉴머의 본격 해외 성장 구간

장비 확장기에 후행하는 소모품 판매로 상저하고의 이익률 전

3월 장비 및 소모품 수출 데이터 최대치 갱신. 연초 볼뉴머 판매 목표치는 연간 150대 수준으로 1분기 안정적인 판매 궤도
 전년도 판매된 약 800대의 장비 대상 유상 소모품 발생 

 

25.04.23 삼성 7.4
수출 강세에 힘입어 컨센서스 소폭 상회 전망
 브라질, 태국 등 주요 수출 지역 선적 증대 및 분기 환율 상승 효과

 

25.05.12 키움 7.8

2Q25부터 신제품 출시, 지역적 확장을 통해 장비 매출액의 성장
볼뉴머의 팁 유상 판매 고객 수가 빠르게 증가

2Q25부터는 유 럽에서의 ‘Ultraformer MPT’, ‘Volnewmer’ 출시가 예정
미국에서의 ‘EVERESSE’(볼뉴머) 판매 확대

`25년 7월 이루다 마이크로 니들 RF 신제품 출 시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늘어난 수요 흡수 ▶ 시술 건수 증가 ▶ 유상 소모품 팁 구매 고객 수 증가

 

`25년: 매출액 3,579억(YoY +47.3%), 영업이익 1,732억(YoY +41.4%, OPM 48.4%)을 전망

 

합병 관련 감가상각비가 분기별 20억 원

 

25.05.13 DB 7.5
1분기 주요 수출국 비수기 영향 및 볼뉴 머의 분기 역성장 영향
소모품 판매 증가 & 달러 강세에 따른 매출 증가.

1)2H25 울트라포머 MPT, 볼뉴머 유럽 출시 및 국내 시크릿 맥스(이루다 제품) 출시 예정

2)미국향 에버레스(국내명 볼뉴머) 본격 매출 성장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으로 이익률 개선 기대

3)일본 법인을 통한 체인 클리닉 대상 대규모 계약 기대

 

25.05.13 대신 7.4
25년은 대형시장(미국, 유럽) 진출 원년. 2Q MPT, 볼뉴머 유럽 진출
2Q25부터 MPT·볼뉴머가 EU MDR을 받아 유럽 판매를 시작하고,
미국은 이미 공급 중인 볼뉴머를 핵심 KOL 중심으로 연 300대 수준 설치.
3Q에는 이루다 MNRF·리팟 신제품이 더해져 장비 매출이 확대되고,
4Q부터 는 설치 누적 효과로 소모품 매출 가속화 될 전망 

 

25.05.20 미래 8.3

  • 미국: 연간 100억 원대 매출, 장비 평균가 3만 달러
  • 일본: 태국 수준의 성장 기대, 대형 클리닉 공략
  • 브라질: 1Q25 매출 개선, 연간 성장률 약 10%
  • 국내: 볼뉴머·슈링크 고성장 지속, 앞으로 실적 분리 공개 안 함
  • 유럽: 2Q25에 볼뉴머 및 슈링크 유니버스
  • 미국: 3Q25 Secret Max 출시
  • 일본: 직접 영업 개시, 대형 클리닉 대상 마케팅
  • 국내: 이루다 Secret Max 신제품 효과 기대
  • 신규 장비 출시로 매출총이익률 하락 전망
  • 이루다와의 비용 시너지 지속

25.05.22 IR센터 
2023년까지 Ultraformer III의 누적 글로벌 판매 대수는 약 15,200대, 이 중 해외 판매가 9,900대로 전체의 약 65%를 차지
2022년에는 프리미엄 후속 모델인 슈링크 유니버스(Ultraformer MPT)를 출시하며 1년 만에 1,100대 이상을 판매
같은 해 10월 RF 기반 장비 볼뉴머(Volnewmer)도 출시되어 첫 해 90대 판매를 달성

 

브라질 24년매출 469억. 누적 슈링크 3000대 판매, 24년 부터 볼뉴머 확산

태국 24년 매출 220억. 누적 슈링크 1000대 판매. 볼뉴머 공급
일본 24년 매출 142억
유럽 25년부터 개화. 025년 5월 볼뉴머 CE MDR(의료기기 규정) 인증을 획득

미국 24년 4월 미국 FDA로부터 510(k) 인허가를 획득, Everesse로 시장 출시. 마취없이도 시술. 슈링크 유니버스는 현재 미국에서 FDA 인허가를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 

 

클래시스는 HIFU와 MRF 기반의 비침습 리프팅 및 탄력 개선 기기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
이루다는 MNRF 및 레이저 기반 의료기기 분야에서 강점
2030년까지 매출 1조 원(약 10억 달러) 이상, 영업이익률 50% 이상이라는 중장기 목표를 제시

 

25.06.16 LS 8

슈링크에 볼뉴머가 더해지며 고성장 지속 예상
장비는 볼뉴머 미국, 태국, 브라질 등 주요 국가에서의 실적 온기 반영,
하반기 유럽 판매 개시로 판매대수 증가(2024년 1,200대 → 2025E 2,200대(미국 300대, 유럽 100대 포함))에 따른 고성장이 전망

 

25.06.26 미래 8
7~8년전 한국 시장의 데자뷔
 5월 유럽에서 볼뉴머 판매가 시작
3Q25에는 유럽과 미국, 한국에서 차세대 마이크로니들 고주파 제품의 런칭

 

25.07.02 다올 8.4
슈링크 유니버스는 2025.07월 중 유럽 CE-MDR 허가 예정(추가 자료 보완 요청 없었음)이며,

신규 마이크로니들 RF 제품인 Quadessy(쿼드세이)는 2025.07월 국내 출시 예정'

 

25.07.15 한투 7.8
 차익실현 매물과 최대주주 지분 매각 우려로 현재 12MF PER 24배까지 낮아졌다
하반기 유럽 매출 본격화와 신제품 효과로 성장성이 강화

 

25.07.21  상상인  7.5
2분기에는 평균 환율하락으로 수출과 수익성에 소폭 마이너스 영향
이루다 합병효과로 2분기에도 매출 성장률이 높게 나올 전망


728x90
반응형

'Gun's종목 > 클래시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시스 뉴스  (0) 2025.07.24
클래시스 주요공시 확인  (1) 2025.07.20
클래시스 홈페이지, 사업보고서  (2) 2025.07.19
클래시스 21년  (0) 2022.04.22
클래시스BM  (0) 2022.02.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