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주전자 리포트
23.03.20 키움 IT에서 이차전지 중심 소재 업체로 변화 중
2022년 영업이익은 120억원
IT 세트 수요 둔화로 매출 비중이 가장 높 은 전도성 페이스트 부문(별도 3Q22 누적 기준 46%)의 매출이 감소
실리콘음극재 4Q23~1Q24에는 주요 고객사를 통해 추가 차종에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공격적인 증설을 통해 실리콘음극재 시장 내 경쟁우위 확보
실리콘음극재와 형광체는 전년 대비 성장세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별도 3Q22 누적 기준 각 각 18%, 13%를 차지하며 매출 기여도는 아직 제한적인
2024년 실적은 매출액 3,137억원(+57%YoY), 영업이익 467억원(+108%YoY) 을 기록
전기차용 실리콘 음극재의 경우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을 통해 포르쉐 타이칸으로만 납품
4Q23~1Q24 주요 고객사를 통해 추가 차종에 납품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3~4개의 차종 추 정)
CAPA를 21년 1,000톤/년 23년 3,000톤/년 24년 10,000톤 /년 25년 20,000톤/년 등 공격적인 증설
전기차 시장 성장과 동반될 형광체 및 전장 용 MLCC 페이스트와 태양전지(후면전극전면전극) 부문의 성장
23.04.06 키움
히 현재 3wt% 수준인 첨가율이 24~25년에 7~8wt%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
시흥 배터리캠퍼스와 새만금 산업단지에서 실리콘음극재 관련 증설 진행
시흥 장비 풀 가동 시 연간 6~8만톤의 실리 콘음극재 CAPA 확보가 가능
23.06.09 IB토마토
유동성 지표가 급격하게 하락
2021년만 해도 144.8%를 나타냈으나 지난해 말 65.3%로 떨어졌고 계속 악화
대주전자재료는 실리콘 음극재 증설에 공격적인 투자를 집행
실리콘 음극재 증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버틸 수 있느냐가 관건
지난해 대주전자재료가 제시한 설비 투자 목표치는 479억원이었는데, 올해 1분기에는 1939억원으로 대폭 상향
재무부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차입금을 늘리며 공격적인 투자를 멈추지 않고 있다.
실리콘 음극재의 진입장벽이 높다는 자신감
관건은 체력이다. 실리콘 음극재 증설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실적 개선을 통한 현금창출로 버텨야 하는 상황
23.07.06 유안타 실리콘 음극재 성장에 주목하라
2022년 기준 실리콘 음극재 양산 기업은 크게 2개 기업 정도로 1위는 삼성SDI, 파나소닉에 공급하는 중국 BTR,
그리고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하는 동사가 글로벌 2위
동사는 흑연 내 SiOx 중량 5wt% 수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tron GT 등에 적용 중
테슬라는 그동안 파나소닉을 통해 중국 BTR의 SiOx를 공급받았으나 미국에서는 다른 공급사의 SiOx를 적용하고 싶어함.
글로벌 양산 기업이 제한적인 만큼 SiOx 차종 확대 수혜는 중국 BTR과 동사가 양분
23.07320 NH
실적 전망치 상향은 신규 고객이 확정될 2H23~2H24 중 예상
신규 고객은 EV향과 IT 디바이스향으로 나눠서 진행
EV향은 원통형과 파우치고객 한 곳씩 샘플 검증 진행
모델 수는 현재 2종(Tycan, E-tron GT)에서 2024년 4종으로 확대
IT 디바이스향은 EV용과 달리 퓨어실리콘 형태로 흑연 음극재 100% 대체를 목표.
IT 디바이스전체에 퓨어실리콘이 탑재된다고 가정하면 연간 1조원 이상의 신규 매출액 발생
양산 난이도 감안시 판가가 EV용 대비 4~5배높을 전망
웨어러블 기기를 시작으로 2026년 본격 양산 예상
주력 차종인 포르쉐 Tycan이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2Q23 판매량이 8,839대로 저조
23.08.17 IBK
23.2Q IT 업황 수요 회복. 나노재료는 QoQ성장 YoY역성장 타이칸 판매량 감소.
나노재료(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본격적인 성장은 24 년부터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대비 10배의 용량과 충전 및 방전 속도가 빨라 차세대 음극재로 각광 받고 있으며
내년부터 다수의 OEM 및 배터리 기업들의 차세 대 제품에 적용될 예정으로 동사의 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성장
실리콘 음극재 CAPA는 23년말 3천톤에서 25년말 2만톤으로 확대
나노재료 부문 매출액도 23년 272억원(YoY +2.4%), 24년 1,052억원 (YoY +286.8%), 25년 2,832억원(YoY +169.1%)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23.10.20 NH투자증권 11만원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로 실리콘 음극재 판매량 저조하나 2024년 실리콘 적용 차종이 2종 → 6종으로 확대되고, IT 디바이스향 양산준비도 순조롭게 진행중'
주력 공급 차종인 포르쉐 Taycan이 2024년 페이스리프트를 앞두고 있어 저조한 판매(YTD 판매 성장률 +11%)를 보이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
23.12.5 키움 11만원
23.4q 실적 악화 . 연말 일회성 비용 및 고객사 재고조정 영향
BUT 2024년 실적은 매출액 2,568억원(+36%YoY), 영업이 익 196억원(+316%YoY)을 기록할 전망
첨가율 현 3%wt 수준에서 24~25년 7~8%wt 수준까지 증가
수익성의 경우 실리콘 음극재 투자 확대에 따른 비용 상승
24.1.29 상상 11만원
탑티어 배터리 셀(Cell)사 중 3개사를 고객
2024년에는 약 8개 차종에 동사의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
24.02.14 nh 9만
차량용 LED 형광체는 기존 고가 차량 중심의 판매에서 중가 차량으로의 저변 확대로 구조적 성장
2024년에는 중국 신규 고객 2곳을 확보해 26%의 매출액 성장이 예상
24.03.20 NH 11.6만원
페이스리프트된 포르쉐 Taycan의 인도 시기가 여름(2Q~3Q)으로 계획되어 있어 선행 생산 물량이 공급
해당 모델은 배터리 용량 (93kWh→105kWh)과 첨가 비중(3%→6%) 모두 늘어났기 때문에 동사 CAPA 잠식 효과가 이전 모델 대비 2배 이상 큼
24.04.15 상상인 11만
본업은 계절적 비수기, 실리콘 음극재가 호실적
24.04.15 키움 11만
음극재 뚜렷한 실적 개선.
지난해 3~4분기에 매출 이 급증했었던 형광체 재료 부문 및 기타제품(금속분말재료 등)의 출하량이 고 객사 재고 상승으로 줄어
형광체 재료의 경우 향후 실리콘 음극재와 더불어 동사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
24.5.10 NH 12.6만원
2Q24 재차 경신 예상. 흑자전환에도 성공한만큼 점진적인 이익 기여 기대'
24.05.14 키움 12만
실리콘 음극재 및 형광체 부문의 출하량이 크 게 증가했으나, 고객사 재고조정에 따른 태양전지 소재의 실적 부진으로 매출 은 전분기비 소폭 감소
특히 실리콘 음극재의 경우, 출하량이 2분기에 크게 늘 어날 것으로 보이며(3~4개 차종 추가 납품 추정), 매분기 실적 개선이 예상
CAPA 증설도 진행 중에 있어, 23년 3,000톤/년에서 올해 7,000톤
글로벌 IT사 향 IT용 실리콘 음극재 판매, 실콘 음극재 기술이 IT용으로 도 확대 가능
내년부터는 Ramp-up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도 가능
24.05.31 키움 14.7만
24년 매출액 2634억 ,282억 예상. 실리콘음극제, 형광체부문 큰폭 증가. 실리콘음극재 2분기 출하량 크게 상승.
3~4개 차종 추가 납품 추정. 2개차종->7~9개 차종 확대.
24.06.25 NH 16.4만
2Q까지 폭발적 성장. 3Q 쉬어. SiOx가 중저가 차량(EV3) 확대적용. 스텔란티스향 출하.
형광체는 고객의 일시적인 재고조정으로 일시 둔화.
24.07.23 미래 15만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tron + 기아EV3 전기차 확대
매출다변화. 금속나노분말 특허. 실리콘음극재 우위. 4~5년 앞서.
24년 2401억/209억 -> 25년 4393억/584억 -> 26년 6190억/1009억 전망
LGES 실리콘 함량 증가 3~5%->7~8%.
생산량 3천톤->24년 7천톤 -> 26년 1.5만톤
SK온 파트너쉽. 퀄테스트 통과.
24.08.14 키움 14.7만
3Q24 영업이익 84억원으로 전분기와 유사 수준의 영업이익 예상.
24.08.14 NH 16.4만
3Q24에는 판가 인하 및 재고 조정으로 잠시 주춤할 것
4Q에는 분기최대매출 달성 전망
24.08.14 미래 16.7
2분기 전도성페이스트, 폴리머 레버리지효과로 이익 증대.
형광체 일시적 재고조정으로 1분기 대비 10하락,
24.10.15 NH 15.8만
3Q24 매출액은 574억원(+7% y-y, -1% q-q), 영업이익은 78억원(+418% y-y, OPM +13.5%)
미국대선 불활실성. 음국재 탑재 프로제트 일부 연기
24.10.21 키움 13.5만
3분기 565억/76억예상
2분기 선제적 물량 확보, 판매둔화(포르쉐 타이칸), 신규프로젝트 지연
형광체, 전극재료 실적개선, 실리콘 음극재 가동률 하락 예상.
4분기 644억/88억 예상
형광체, 전극재료 점진적 상승, 실리콘음극재 재고조정, 출시일정 지연, 전기차 수요 둔화.
24.11.14키움 13.5만 실적 차별화에 주목
기존 모델의 판매 둔화(포르쉐 타이칸 등) 및 일부 신규 프로젝트 탑재 지연(Stellantis, Ford) 영향으로 매출이 당초 시장 기대치(나노재료 매출 150~160억원)에는 못 미친 것으로 파악
25년 나노재료 부문 매출은 946억원(+85%YoY)으로 전년 대비 큰 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
24.11.14 NH 12 (목표가 하향) 불확실성이 걷힐 때까지 잠시 대기
미국 EV 정책 불확실성 존재하나 2025년에도 SiOx 적용 확대 기조 유지될 전망
24.12.03 신한 11만(하향)
2차전지 음극재료 연구개발은 2011년 시작했으며 2019년부터 실리콘음극재를 양산
2025년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다변화 및 탑재 차종 확대가 본격
일부 차종의 출시가 2025년으로 지연, 많은 판매 물량을 기대할 수 있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을 최종 고객사로 확보 중
실리콘 음극재를 채택한 중저가 차종(EV3, 캐스퍼 EV)의 출시가 실적을 뒷받침한 것
신규 셀 고객사로 원통형 전지를 주력으로 하는 파나소닉을 확보
실리콘 음극재 수요가 급증하는 구간에선 고객사에 품질과 물량을 보증 가능한 유일한 기업
2025~2026년 테슬라 신규 제품 출시 수혜와 LG에너지솔루션(46시리즈) 및 파나소닉(2170)향 공급 비중 확대가 예상
24.11.26 미래 12.5만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LG에너지솔루션(46시리즈) 및 파나소닉(2170) 향 공급 비중 확대. Mass 모델로의 확장 지속.
EV3 및 캐스퍼를 시작으로 OEM으로의 본격적인 확장
24.12.2 신한 11만 여전히 가파른 성장의 기울기
25년 실리콘 음극재 고객사 다변화 및 탑재 차종 확대 본격화
원통형 고객 향 물량 및 4680 양산 일정 가시화
. 25년 실리콘 음극재 신규 차종 확보
전방 시장의 둔화를 고려해 실리콘 음극재 설비 도입은 탄력적으로 조절,
非중국 업체 중 가장 많은 Capa를 보유
1) 도전성 전극재료: MLCC를 비롯한 세라믹 콘덴서, 태양전지 등에 쓰이는 전극용 페이스트를 생산
매출 등락은 IT 세트 수요,
삼성전기, 한화솔루션 고객
2)폴리머: 전자부품 절연 보호 위한 에폭시 도료, 인덕터, 콘덴스 등에 적용, 아비코전자, 우리산업 등 납품
3)형광체: 자동차 전장부품 LED채택 효과. 서울반도체, 삼성전자, 중국EV향 납품
4)실리콘 음극제: LGES, SK온, 파나소닉. 그외 신규고객사 확보
-SiOx: 대주전자, BTR, 신에츠 화학 채택. 주로 양산중인 기업들. 부피팽창 리스크 줄여. but 낮은 충방전 효율,넢은미용
-SiC: 높은 초기효율, but 충방전시 수명 짧아. 전기차보단 전동공구용 배터리 사용. 대량생산용이, 가격경쟁력우위
BTR, SK머티, 포스코퓨처엠 도전
프리미엄 차종 위주탑재. 포르쉐타이칸, 아우디 e트론. 포르쉐 미진한 판매가 아쉬움.
기존의 파우치형 고객(LG에너지솔루션, SK온)
추가로 파나소닉 확보-> 파나소닉은 테슬라 납품.
IT 세트로의 어플리케이션 확장도 중장기 업사이드 요인
IT기기의 시간당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탑재되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충전 속 도 또한 발전
글로벌 IT 세트 업체와 실리콘 음극재 개발 협업을 지속, 퓨어 실리콘 방식을 사용
스마트폰 외 태블릿,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 으로 적용 계획 중
25.01.15 미래 12.5만(하락) Tesla에 거는 기대. 모델Y 쥬니퍼 출시 수혜 예상
25년~26년 Tesla 신규 제품 출시 수혜
파나소닉 및 LG에너지솔루션 향 공급 비중 확대
25.01.15 NH 13만 끊이지 않는 성장 잠재력
'2025년 신규 탑재 모델 최소 5종 추가되며 SiOx 고성장 지속될 것.
2026년 이후 산화물계 전고체소재, 퓨어실리콘, CNT도전재 상용화가 예상
2025년 SiOx 매출액은 902억원(+79% y-y)을 예상
기존 모델들(E-tron GT, Tycan, EV9, EV3, 캐스퍼EV)+ 신규 모델 5종(아이오닉3, 아이오닉9 스텔란티스 2종, 테슬라 1종)
. 2024년 동사가 판매한 SiOx를 배터리 용량으로 환산하면 약 21GWh에 불과해 향후 확대 가능성 크게 열려있음
SiOx 영업이익 기여도 역시 2025년 28%에서 2026년 40%, 2027년 60%로 가파르게 늘어날 전망
25.03.26 NH 13만 울퉁불퉁한 성장길'
2025년 신규 탑재 모델 6종 추가되며 SiOx 고성장 지속될 것. 다만 스텔란티스향 공급 성사 여부 확인 필요.
1Q25 SiOx 매출액이 88억원(+1% y-y, -20% q-q) 으로 예상(117억원) 대비 부진.
SiOx는 2024년 대규모 투자로 분기 고정비가 약 15억원 내외 상승
. SiOx 판매 부진은 전방 고객들의 재고조정 여파. 특히 포르쉐, 아우디향 재고조정 여파가 큰 것
고무적인 점은 형광체 매출액이 BYD 등 신규 고객향 판매 증가에 힘입어 121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
25.04.02 유안타 13만. SiOx 중심 애플리케이션 확대
올해 실리콘산화물(SiOx) 신규 탑재 모델로 아이오닉·테슬라·스텔란티스 등 6종을 추가하며 애플리케이션 및 고객사를 확대
음극재는 배터리의 수명과 충전속도를 결정하는 핵심 소재로, 실리콘을 활용한 음극재는 흑연계보다 용량이 10배 높다
EV 주행거리를 혁신적으로 늘리고 충전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대주전자재료는 6㎚ 수준의 SiOx를 공급 중이다.
25.04.23 한투12만 안정적인 성장이 돋보이는 소재주
2024년 역성장했던 여타 2차전지 소재 기업과 다르게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
실리콘 소재의 경우 양극재 소재(니켈, 코발트 등)에 비해 가격 등락폭이 적어 안정적인 OPM을 유지하는 점이 특징
. 실리콘 음극재 양산은 높은 기술적 난도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음.
현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BTR(중국), 신에츠(일본), 대주전자재료(한국)에 불과.
25.05.12 미래 11.5 2분기부터 탑라인 성장 예상
EV 수요 부진에 따른 전방 고객사 EV 목표치 하향 조정 을 반영하여 26년 및 27년 평균 예상 EPS를 -9.4% 하향 조정.
2분기부터 실적 우상향이 예상되는데, 1) 실리콘음극재 출하량 증가, 2) 형광체의 전장용 비중 확대에
5월부터 파나소닉향 양산용 실리콘음극재 출하가 시작
27년에는 EV배터리 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IT 기기용으로의 탑재가 예정
25.05.16 NH 10.7 '이 업황에 이 정도면 잘하는 중
전방위적인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동사 SiOx 매출은 40% 이상의 높은 성장을 이어갈 전망
25.07.01 NH 9.8 고무적인소식
미국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폐지. 26년 미국 판매 둔화.
파나소닉 북미 공장향 SiOx가 7월부터 본격출하. 테슬라 공급망 진입. 현재 SiOx Gen4~5 (용량 1800mAh/g), 27년 Gen6(용량 2100mAh/g) . 테슬라 사이버캡에 탑재 추정. 파나소닉향 Gen4~5매출 100억원 추정. Gen6는 2000억 전망
형광체 부문 BYD 재고조정여파로 둔화.
25.07.08 한투 10만 중장기성장스토리 유효
현기차 판매호조, EV4 신차 판매. 나노재료 매출 상승
형광체는 BYD 재고 조정으로 매출액 하락
실리콘 음극재 24년 기준 시장 침투율 2%. 글로벌 점유율 70%차지하는 BTR 중국기업 제재. 반사이익
파나소닉 실리콘음극재 밴더사를 대주전자 선택, 7월부터 본격 출하